2025년 07월 09일 수요일

  • 서울 30℃

  • 인천 28℃

  • 백령 25℃

  • 춘천 28℃

  • 강릉 22℃

  • 청주 22℃

  • 수원 29℃

  • 안동 26℃

  • 울릉도 25℃

  • 독도 25℃

  • 대전 30℃

  • 전주 29℃

  • 광주 28℃

  • 목포 27℃

  • 여수 26℃

  • 대구 27℃

  • 울산 26℃

  • 창원 29℃

  • 부산 26℃

  • 제주 26℃

유통·바이오 '반값' 협조 식품·유통업계, 소비쿠폰 수혜선 멀어진다

유통·바이오 식음료

'반값' 협조 식품·유통업계, 소비쿠폰 수혜선 멀어진다

등록 2025.07.09 17:17

김제영

  기자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정부가 1인당 최대 45만원 소비쿠폰 지급

소비쿠폰 사용처는 동네 상권과 매출 30억원 이하 매장에 집중

대형마트·백화점·온라인몰 등은 사용처에서 제외

업계별 희비

편의점 가맹점·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은 매출 증가 기대

대형마트·백화점 등 대기업 유통채널은 매출 감소 우려

식품업계는 편의점 인기 품목 위주로 매출 상승 예상

숫자 읽기

2020년 재난지원금 당시 GS25 매출 2배 이상 증가

동기간 대형마트·백화점 매출 각각 9.7%, 7.4% 감소

올해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 4.6%, 3개월 연속 4%대 기록

민생지원금, 동네 상권 중심 사용처 제한편의점·외식업계, 가맹점 실질적 수혜 기대식품·유통업계, 직접적 영향↓···부담 우려도

'반값' 협조 식품·유통업계, 소비쿠폰 수혜선 멀어진다 기사의 사진

식품·유통업계가 정부 주도 할인 행사에 동참하는 가운데 13조원 규모 민생회복 지원금 특수에서는 소외된다. 소비쿠폰 사용처가 동네 상권을 중심으로 적용되면서 가맹점 위주의 편의점·외식업체는 수혜가 기대되는 반면, 식품·유통업계는 물가 안정 부담을 떠안게 됐다.

9일 정부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21일부터 국민 1인당 15만~45만원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한다. 소비쿠폰은 전통시장과 동네 마트, 편의점, 식당 등 매출 30억원 이하의 매장에서 사용 가능하다. 편의점의 경우 본사 직영점을 제외한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

반면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SSM), 백화점, 온라인 쇼핑몰, 프랜차이즈 직영점 등에서는 사용이 제한된다. 내수 활성화와 지역 경제 회복이라는 정책의 취지를 따르기 위한 차원이다. 이번 정책은 2020년 코로나 긴급재난지원금과 달리 SSM이 빠지면서 사용처가 줄었다.

소비쿠폰 사용처가 동네 상권으로 집중되면서 업계별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대규모 유통채널 중에서는 편의점 업계가, 외식 프랜차이즈의 경우 가맹점 중심 기업이 특수를 입을 것으로 기대된다. 식품업계의 경우 여름철 편의점 수요가 높은 품목 위주로 매출이 오를 전망이다.

과거 편의점 업계는 이 같은 상황에서 매출 특수를 입었다. GS리테일에 따르면 지난 2020년 4월 재난지원금 지급이 이뤄진 뒤 편의점 GS25의 지역화폐 사용 금액은 지급 전 달인 3월과 비교해 당월 102%, 4월 214%, 6월 169%로 증가했다. 축산·신선 품목의 판매가 높았다.

다만 대형마트와 백화점 등 대기업 유통 채널은 사용처에서 제외되면서 매출이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재난지원금 지급(2020년 4월) 이후인 5월 백화점과 대형마트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7.4%, 9.7%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체 오프라인 유통업체 매출은 6.1% 감소한 가운데 편의점만 0.8% 오르며 유일한 상승세를 보였다.

소비자들이 29일 오후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 라면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소비자들이 29일 오후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 라면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더욱이 이번 정책 시행 전 식품·유통업계는 정부 요청에 따라 할인 행사에 나서면서 손해를 볼 가능성도 적지 않다. 이번 행사는 정부 예산 없이 식품·유통기업 간 협의로 진행된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농심과 오뚜기, SPC, CJ제일제당 등 식품기업은 이달 중 라면과 빵, 커피·음료, 김치 등 가공식품을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에서 최대 50% 할인한다. 이마트와 롯데마트 등 대형마트를 비롯한 유통업체에서도 할인에 나서며 물가 안정에 동참하기로 했다.

김진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할인 행사에서 품목이나 할인율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이로 인한 마진 손실은 제조·유통업체가 분담할 것"이라며 "가격탄력성이 낮은 라면·빵은 단기적인 수요 확대가 제한적인 만큼, 실질 판가 하락이 실적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특히 정책 타깃이 된 라면은 실제 행사 규모에 따라 단기 실적 우려가 확산될 수 있다"고 해석했다.

이어 "이번 정책의 연장 여부는 결정된 바 없으나 정부가 가공식품 물가 상황을 지속 점검하며 추가 할인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라며 "할인 장기화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판단했다.

일각에서는 할인 행사에 동참하는 식품·유통업계가 소비쿠폰 특수에서 소외되면서 물가 안정 부담을 떠안게 됐다는 시각이 나온다. 특히 식품업계는 올해 커피·코코아 부가가치세 면세 조치를 유지하고, 수입 원재료 21개에 할당관세를 적용, 식품기업 원료구매자금도 추가로 지원받을 예정이지만, 유통업체의 경우 별도로 마련된 정부의 지원책은 없다.

업계 한 관계자는 "물가 부담 완화에 대한 의견에 공감해 할인 행사에 동참하게 됐다"면서도 "사용 제한에 따른 한계도 있다. 할인 행사를 대대적으로 진행하는 대형마트에서 사용이 불가능한 만큼 소비심리 회복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을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추경 예산이 풀리면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는 '재정인플레이션' 우려도 있다. 재정인플레이션은 정부가 예산 집행 과정에서 지출을 확대해 경기를 부양할 때, 화폐 유통량 증가로 발생하는 물가 상승 현상이다. 실제 한국은행 분석에 따르면 지난 코로나 재난지원금 당시 정부의 이전지출 증가가 물가 상승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 안팎으로 유지 중이나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4.6%로, 3개월 연속 4%대의 상승폭을 기록하며 전체 물가를 견인하고 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