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 서울 21℃

  • 인천 18℃

  • 백령 14℃

  • 춘천 25℃

  • 강릉 27℃

  • 청주 25℃

  • 수원 22℃

  • 안동 25℃

  • 울릉도 17℃

  • 독도 17℃

  • 대전 25℃

  • 전주 26℃

  • 광주 24℃

  • 목포 21℃

  • 여수 23℃

  • 대구 28℃

  • 울산 25℃

  • 창원 26℃

  • 부산 25℃

  • 제주 24℃

금융 금감원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우려 여전···위기 전이는 제한적"

금융 금융일반

금감원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우려 여전···위기 전이는 제한적"

등록 2025.05.15 12:00

박경보

  기자

공유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채무불이행(EOD)이 오피스 자산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체 투자 규모와 자본 여력을 감안할 때 시스템 리스크로 확산될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다.

15일 금감원은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에 대한 금융회사의 리스크 대응 현황을 점검한 결과 오피스 자산 부실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지만 전반적인 손실인식과 자본 여력을 감안할 때 시스템 위기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2023년 하반기 이후 미국·유럽 오피스 시장 중심의 부동산 가치 하락, 고금리 지속 등으로 금융회사의 해외 대체투자 자산 부실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분기별 점검과 제도 개선을 지속해 왔다.

금감원은 지난해 10월부터 해외 부동산 리스크 요인을 사업장별로 DB화해 관리하고 있다. 또한 금감원 해외사무소 및 금융회사 현지 법인과 연계한 신속 보고 체계를 구축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만기 도래로 인한 'EOD' 발생 사업장에 대해서는 적정한 손실인식과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유도하고 있다.

또한 자본시장법 시행령 및 금융투자업규정 개정을 통해 대체투자 자산에 대한 연 1회 이상 외부 평가를 의무화했다. 금융투자업권에 대해서는 대체투자 리스크관리 모범규준도 올해 3월 개정한 바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익스포져는 2023년 말 기준 57조6000억원에서 2024년 3월 말 57조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체 금융권 자산 대비 비중은 0.8%로, 당국은 익스포져 자체가 크지 않고 전반적인 자본비율이 양호하다는 평가다.

다만 지난해 9월 말 기준으로 전체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중 37%(20조6000억원)가 오피스 자산에 집중돼 있어 구조적 취약성이 여전히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EOD 규모는 2023년 6월 말 1조3300억원에서 올해 3월 말 2조5000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앞으로 금융위와 금감원은 업권별 모범규준을 순차적으로 개정해, 투자심의와 사후관리 강화는 물론 외부 전문가 활용, 딜 소싱 절차 투명화 등 사전·사후 통제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적정 손실인식이 병행되며 분기별 EOD 증가폭이 다소 완화됐다"며 "리파이낸싱 상황이나 감정평가 미실시 사업장에 대한 개별 모니터링을 통해 맞춤형 건전성 감독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