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유통·바이오 삼성家 이부진, '상속세 부담' 해결 방안은?

유통·바이오 유통일반

삼성家 이부진, '상속세 부담' 해결 방안은?

등록 2024.03.26 15:56

수정 2024.03.28 09:13

윤서영

  기자

공유

삼성전자 지분 0.09% 블록딜···4140억원 규모'대출금 상환' 목적···막대한 상속세 재원 마련"주담대 이자↑···추가적 주식 매각 가능성도"

지난해 호텔신라의 주력 사업인 면세 부문이 고전을 면치 못한 가운데 이부진 사장이 이건희 삼성 선대 회장 별세 이후 떠안은 상속세 부담이 짙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지난해 호텔신라의 주력 사업인 면세 부문이 고전을 면치 못한 가운데 이부진 사장이 이건희 삼성 선대 회장 별세 이후 떠안은 상속세 부담이 짙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향후 경영권에 문제가 없는 삼성 계열사 지분 매각에 나서며 부친인 고(故) 이건희 선대 회장의 유산에 부과된 막대한 규모의 상속세 재원 마련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이다.

무엇보다 이 사장은 그간 꾸준히 계열사 주식을 담보로 한 금융권 대출 등을 통해 상속세를 납부해오고 있었는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본업인 호텔신라의 실적 회복 속도가 더뎌지고 있어 이에 따른 부담 역시 클 수밖에 없다는 게 업계 평가다.

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 사장은 지난 15일 대출금을 상환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나은행과 삼성전자 주식 524만7140주(지분 0.09%)를 처분하는 내용의 유가증권 처분신탁 계약을 맺었다. 매각 규모는 약 4140억원 수준으로 추산된다.

관련 계약 기간은 내달 22일까지로, 이 사장의 지분은 이 기간 내에 시간 외 대량매매(블록딜) 방식 등으로 처분될 예정이다. 매각이 마무리 수순을 밟을 경우 이 사장이 보유하고 있는 삼성전자의 지분율도 0.89%(5299만2821주)에서 0.8%(4774만5681주)로 줄어들게 된다.

이 사장이 계열사 주식 매각에 나선 건 약 3개월 만이다. 앞서 이 사장은 지난 1월 삼성전자 0.04%(240만1223주)를 비롯해 삼성물산 0.65%(120만5천718주), 삼성SDS 1.95%(151만1천584주), 삼성생명 1.16%(231만5천552주) 등 일부 지분을 시간 외 매매로 처분했다.

이 사장의 지분 정리는 천문학적 수준의 상속세를 납부하기 위한 이유 때문이라는 게 업계 평가다.

특히 이 사장은 재계 여성 가운데 주식 배당액이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났지만 이마저도 마냥 웃을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에 따르면 이 사장의 지난해 배당금은 1459억9000만원으로 10년 전인 2013년(15억1000만원) 대비 9571.7% 대폭 증가했다. 당초 삼성 SDS 지분만 가지고 있던 이 사장이 이후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생명 등의 주식을 보유하게 되면서다.

다만 배당액이 늘어난 반면 상속세 부담은 여전히 크다. 이 선대 회장 별세 이후 삼성가(家) 유족들이 내야 할 상속세는 12조원으로 이 사장과 어머니인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 동생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은 연부연납 제도를 활용해 2021년 4월부터 5년에 걸쳐 분할 납부하고 있는데 지난해까지 총 6조원의 상속세를 납부한 이들은 올해부터 2026년까지 세 차례 더 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사장이 이끄는 호텔신라 실적이 코로나19 이전으로의 회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도 발목이 잡혔다. 중국 단체 관광 활성화가 되지 않으면서 TR(면세) 부문의 반등이 불가피했던 탓이다.

이 때문에 호텔신라의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16.5% 증가한 912억원을 기록했지만 매출은 3조5685억원으로 27.5% 감소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매출(5조7173억원)은 62.4%, 영업이익(2959억원)은 30.8% 회복한 수치다.

업계 관계자는 "이 사장이 추후 주담대의 이자 비용을 낮추기 위해 지분을 추가로 매각할 가능성도 존재한다"며 "우려되는 건 오너가가 상속세를 마련하기 위해 지분을 시장에 매각할 경우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이 사장은 올해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수익성 확보에 주력할 전망이다.

면세 부문의 경우 최근 문을 연 인천공항점 조기 안정화와 더불어 시내점, 온라인, 국내외 공항점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호텔·레저는 위탁운영 사업 및 브랜드 활용 사업을 확대해 매출 극대화와 손익 구조 개선에 집중한다.

뉴스웨이 윤서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