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증권 거래소 "시장조성자 공매도 허용, 시장참가자 거래 편익 위한 조치"

증권 증권일반

거래소 "시장조성자 공매도 허용, 시장참가자 거래 편익 위한 조치"

등록 2023.11.09 15:47

안윤해

  기자

공유

사진=한국거래소 제공사진=한국거래소 제공

한국거래소가 "시장조성자 및 유동성공급자에 대한 예외적 공매도 허용은 궁극적으로 시장참가자의 거래 편익을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9일 한국거래소는 공매도 금지기간 중 예외 거래 현황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앞서 5일 임시 금융위원회 의결에 따라, 지난 6일부터 내년 상반기 말까지 유가증권·코스닥·코넥스 등 국내 증시 전체 종목에 대한 공매도가 전면 금지됐다.

다만 시장조성자는 ▲주식 시장조성자의 시장조성 목적 ▲주식 유동성공급자의 유동성공급 목적 ▲파생 시장조성자의 헤지 목적 ▲ETF 유동성공급자의 헤지 목적 등 예외적으로 차입공매도를 허용하고 있다.

과거 3차례의 공매도 금지 시에도 헤지 목적의 거래에 대해서는 차입공매도를 허용해 왔으며, 해외 주요증시(미국·EU·호주 등)에서도 공매도 금지 조치를 취할 때 시장조성자의 공매도는 예외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공매도 금지 이후 이날까지 3일간 증시에서는 파생 시장 조성자, 상장지수펀드(ETF) 유동성공급자의 헤지 목적 공매도만 있었으며, 코스피․코스닥 시장에서 주식 거래대금의 1% 미만 수준으로 출회된 것으로 집계됐다.

거래소는 "시장조성자 및 유동성공급자에 대한 예외적 공매도 허용은 시장 안정을 훼손할 염려가 없으며, 궁극적으로는 시장참가자의 거래 편익을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이어 "시장조성 및 유동성공급 과정에서 제출한 매수호가가 체결돼 매수 포지션을 보유하게 된 경우 가격변동 리스크에 대한 위험 헤지가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또 "시장조성자 및 유동성공급자의 예외 공매도가 불가능할 경우 시장조성 및 유동성 공급 호가 제출이 어려워 해당 종목 투자자들의 원활한 거래가 어려워진다"고 부연했다.

거래소는 "시장조성자 및 유동성공급자에 대해서도 무차입 공매도는 엄격히 금지되고 있다"며 "유동성공급자 및 시장조성자가 차입공매도와 관련된 제반 규정을 잘 준수하는지 철저히 모니터링하고 시장감시위원회에서도 유동성공급자, 시장조성자 계좌를 대상으로 차입계약서를 징구하여 차입여부를 집중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뉴스웨이 안윤해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