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매출 상위 50대 기업(공기업 제외)을 대상으로 지난 9월 '재택근무 현황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 기업 31곳 중 58.1%가 '현재 시행 중'이라고 답했다. 경총은 "코로나 팬데믹 시기와 비교해 재택근무 시행기업이 크게 줄어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재택근무 미시행'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41.9%였다. '코로나19 이후 시행한 적은 있지만 지금은 하지 않는다'고 답한 기업은 38.7%, '지금까지 시행한 적이 없다'는 기업은 3.2%였다.
재택근무를 운영 중이라고 해도 과거 코로나19 시기에 비해 그 규모는 감소했다.
재택근무를 시행 중인 기업 가운데 61.9%는 '필요 인원을 선별하거나 개별 신청'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재택근로자를 일정 비율 정해놓고 부서·팀 단위로 운영하는 '교대 순환형'과 '부서별 자율 운영' 방식을 택했다는 기업은 각각 19.0%였다.
재택근무를 축소 또는 중단하는 과정에서 '반대가 거의 없었다'는 응답이 50.0%로 가장 많았다. '일정 부분 반대가 있었지만 정도가 강하지 않았다'고 한 기업은 36.7%, '강한 반대가 있었다'고 한 기업은 10.0%로 나타났다. 무응답은 3.3%였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코로나19로 크게 확산했던 재택근무가 현저히 축소됐다"며 "재택근무가 대면 근무를 대체하기보다는 업종, 직무, 근로자 여건 등에 따라 선별적으로 채택되는 제도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뉴스웨이 임재덕 기자
Limjd87@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