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이복현의 총선 행보?···카드사 돌며 '상생금융'

금융 카드

이복현의 총선 행보?···카드사 돌며 '상생금융'

등록 2023.06.29 17:02

수정 2023.06.29 17:33

이수정

  기자

공유

이복현, 복지재단 돌고 소상공인 만나고카드사는 돈 내고 금감원장은 표심 잡고우리카드 선제적 출자···타사도 '눈치보기'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9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굿네이버스 회관에서 열린 '우리카드 상생금융 출시 기념, 취약계층 후원금 전달 및 소상공인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9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굿네이버스 회관에서 열린 '우리카드 상생금융 출시 기념, 취약계층 후원금 전달 및 소상공인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이복현 금감원장 행보가 '총선 준비'라는 말이 심심치 않게 나온다. 올해 들어 은행을 방문하며 대규모 상생금융 지원책을 이끌어낸 데 이어 2금융권인 우리카드까지 소상공인 지원에 동참 시키면서다. 이례적으로 복지재단과 소상공인을 직접 만남을 여러차례 하고 있다는 점도 이같은 의혹을 부채질 하는 모습이다.

금융권에서는 이 원장의 행보가 현 정권의 총선 승리를 겨냥한 '민심 다지기'라는 시각이 적지 않다. 윤석열 대통령의 자타공인 막내 라인인 이 원장의 총선 출마가 기정사실화 돼가는 가운데 금융사를 앞세워 민심을 얻으려는 복안이라는 의미다. 카드업계는 취약계층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지만 최근 업황이 급격히 기운 만큼 부담스러운 표정을 지우기 힘든 모양새다.

이 원장은 29일 '우리카드 취약계층 지원 후원금 전달식'에 참석해 경제 침체기 소상공인과 취약계층 자금 공급이 위축되지 않길 바란다는 뜻을 전했다. 이 자리에서 우리카드는 이날 굿네이버스에 2억원을 기부하고 카드업계 최초 '2200억원 규모의 상생금융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금융 취약계층 대상으로 채무 정상화 프로그램(8월부터)을 운영하고 연채채권 감면 비율을 10%포인트 일괄 확대, 전세사기 피해 등 현저한 어려움이 있을 경우 최대 70% 채무 감면 등이 담겼다. 기존 대환대출 대비 50% 금리 인하한 상생론을 출시하고 연소득 2000만원 이하 저소득 고객에 대하여 신용대출금리를 기존대비 4%포인트 인하하기로 했다. 영세·중소 소상공인은 사업자금 용도 기업카드 이용 시 카드 이용대금의 1%를 할인 청구한다.

표면적으로 이 원장의 상생금융 행보는 고물가·고금리 시기에 원활한 자금공급을 목표로 한다. 이 원장은 "신용 통계를 보면 저신용자 신용 공급이 큰 금액은 아니지만 그전 추이랑은 다르게 조금 증가했다"며 "대부업계에 의존해 고통을 받던 분들이 2금융권, 또 2금융권에 있는 분들은 1금융권으로 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금융권은 이를 총선 승리를 위한 포석으로 해석한다. 이날 소상공인을 직접 대면한 간담회를 열었다는 것도 총선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말이 나돈다. 중소기업장이 아닌 금감원장이 소상공인 대표들을 5명이나 직접 만난 사례는 드물다. 게다가 지난해 연말에는 '초록우산' 이날은 '굿네이버스' 등 기부재단을 차례로 방문했다는 대목을 두고도 말이 많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금감원장의 행보는 전형적인 출마 전 표심 얻기"라며 "대부분 관계자들이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는 말을 보탰다.

이 가운데 카드업계는 금감원의 상생금융 압박이 목전까지 온 상황에 당황스러운 표정이다. 우리카드가 선발대로 상생금융 지원책을 발표한만큼 타 카드사도 금융당국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크게 수익을 냈던 은행권과 달리 카드업계는 조달 금리 상승과 페이 수수료 부담 등 비용 증가로 몸살을 앓고 있어 부담이 더 클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금감원은 독려 차원일 뿐이라는 입장이다. 이 원장은 "비은행권 여건은 회사마다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 선제적으로 말할 순 없다"며 "감사하게도 우리카드에서 먼저 이런 방안을 발표해 준 것이고 다른 카드사나 캐피탈에서 먼저 제안을 하면 기꺼이 참여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수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