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9일 수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산업 삼성家, 4조 대출 받고 지분도 매각···상속세 마련 속도

산업 재계

삼성家, 4조 대출 받고 지분도 매각···상속세 마련 속도

등록 2023.06.06 13:33

김정훈

  기자

공유

홍라희 여사·이부진·이서현, 대출액만 4조781억세 모녀 삼성전자·삼성생명 주식도 일부 매각

한국 방문중인 글로벌 명품 그룹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 베르나르 아르노 총괄회장이 21일 오후 서울 용산구 리움미술관을 비공개로 찾아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 관장, 이부진 호텔신라 대표, 크리스찬 디올의 CEO인 델핀 아르노와 티파니 임원인 둘째 아들 알렉상드로 아르노를 비롯한 참석자들이 전시관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한국 방문중인 글로벌 명품 그룹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 베르나르 아르노 총괄회장이 21일 오후 서울 용산구 리움미술관을 비공개로 찾아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 관장, 이부진 호텔신라 대표, 크리스찬 디올의 CEO인 델핀 아르노와 티파니 임원인 둘째 아들 알렉상드로 아르노를 비롯한 참석자들이 전시관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이건희 선대회장의 지분을 상속 받은 삼성 오너 일가가 12조원에 달하는 상속세 납부를 위해 4조원이 넘는 대출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속세 마련을 위해 지배구조 핵심 계열사인 삼성전자, 삼성생명 등 보유 지분도 일부 매각하며 재원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홍라희 삼성미술관리움 전 관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은 최근 주식담보 대출을 받았다. 대출 규모를 보면 홍 전 관장은 1조4000억원, 이부진 사장 5170억원, 이서현 이사장 1900억원이다.

기존 대출까지 더하면 삼성가 세 모녀의 주식담보대출 규모는 총 4조781억원 수준이다. 유족들은 연부연납 제도를 활용해 2021년 4월부터 5년에 걸쳐 상속세를 분할 납부하고 있다.

현재까지 납부한 금액은 약 6조원으로 파악됐다. 남은 3년간 추가 납부해야 할 금액은 약 6조원 넘게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금리 인상으로 인해 세 모녀가 받은 주식 담보 대출의 금리는 5%대로 알려졌다. 대출 이자만 연간 2000억원 이상으로 재계는 파악했다.

상속세 부담이 만만치 않은 만큼 유족들은 상속세 재원 마련을 위해 일부 계열사 주식까지 처분했다.

홍 전 관장은 지난해 3월 삼성전자 지분 약 2000만주를 처분했고, 이부진 사장은 삼성SDS 주식 약 150만주를 매각했다. 이서현 이사장도 삼성SDS 주식 300만주 전량과 삼성생명 주식 350만주를 각각 매각해 상속세를 충당했다.

이 선대회장이 남긴 주요 재산은 삼성전자(4.18%), 삼성생명(20.76%), 삼성물산(2.88%), 삼성SDS(0.01%) 등 계열사 주식과 미술품, 부동산 등 총 26조원에 달한 것으로 재계는 파악했다.

재계 관계자는 "지분 상속을 받을때와 지금과 비교하면 주가가 많이 빠진 상황이어서 지분이 늘어난 건 맞지만 지분 가치는 오히려 하락했고, 어마어마한 상속세를 납부하느라 부담이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김정훈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