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감원 분조위, 하나은행 '伊 헬스케어 펀드' 최대 80% 배상 결정

금감원 분조위, 하나은행 '伊 헬스케어 펀드' 최대 80% 배상 결정

등록 2022.06.13 14:09

수정 2022.06.13 14:10

한재희

  기자

공유

금감원 분조위, 하나은행 '伊 헬스케어 펀드' 최대 80% 배상 결정 기사의 사진

금융감독원 금융분쟁조정위원회(이하 분조위)가 대규모 환매 중단으로 논란을 빚은 하나은행의 이탈리아 헬스케어 펀드에 대해 최대 80%를 배상하라는 결정을 내렸다.

금감원 분조위는 13일 하나은행의 이탈리아 헬스케어 펀드(이하 헬스케어 펀드) 불완전판매 등에 따른 손해배상책임에 대해 손해배상비율을 최대 한도 수준인 80%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해당 투자자에 대한 하나은행의 자본시장법상 부당권유 금지 위반이 확인돼 기본배상비율을 30%에서 40%로 상향했다.

여기에 펀드 판매사로서 투자자보호 노력을 소홀히 하여 고액‧다수의 피해를 발생시킨 책임의 정도 등을 감안하여 공통가중비율을 30%로 산정하고, 기타사항 10%를 추가해 손해배상비율을 최고 수준인 80%로 책정했다는게 분조위의 설명이다.

다른 투자자(1명)에 대해서도 적합성원칙 위반, 설명의무 위반 및 기타사항 등을 고려하여 75%의 손해배상비율을 결정했다.

하나은행이 판매한 헬스케어 펀드는 총 14개로 1536억원 규모로 전액 환매중단으로 인해 개인 444명, 법인 26사의 투자피해자가 발생해 논란을 빚었다. 이날까지 분쟁조정 신청은 총 108건으로 하나은행이 105건, 대신증권과 유안타증권, 농협은행이 각각 1건씩이다.

이날 분조위에 부의된 2건 모두 하나은행의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했다. 투자자성향을 먼저 확인하지 않고 펀드가입이 결정된 후 공격투자형으로 사실과 다르게 작성한 점, 투자대상자산의 부실가능성 등 위험성을 설명하지 않고 안전성만 강조했다는 점 등이 영향을 미쳤다.

특히 1등급 초고위험 상품을 판매하면서 내부통제 미비로 고액‧다수의 피해자를 발생시킨 책임도 크다고 판단했다.

양 당사자가 조정안 접수 후 20일 이내에 조정안을 수락하는 경우 조정이 성립된다. 나머지 조정대상에 대해서는 분조위 배상기준에 따라 자율조정 등의 방식으로 처리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나머지 투자피해자에 대해서도 금번 분조위의 배상기준에 따라 조속히 자율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계획이며, 조정절차가 원만하게 이루어질 경우 환매연기로 미상환된 1,536억원(504계좌)에 대한 피해구제가 일단락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뉴스웨이 한재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