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정홍근 티웨이항공 대표, 임기 3년 더···경영 정상화 총력

정홍근 티웨이항공 대표, 임기 3년 더···경영 정상화 총력

등록 2022.03.11 15:33

이세정

  기자

공유

정기주총서 사내이사 재연임안 상정대한항공·진에어 출신 '영업 전문가'국내 LCC 최장수 CEO 타이틀 거머줘자금위기 해소 임무···중장거리 진출도

정홍근 티웨이항공 대표이사 사장. 그래픽=박혜수 기자정홍근 티웨이항공 대표이사 사장. 그래픽=박혜수 기자

정홍근 티웨이항공 대표이사 사장이 임기 연장에 성공하며 국내 저비용항공사(LCC)업계 '최장수 CEO'에 올랐다. 정 대표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른 경영난을 극복하고, 중장거리 노선의 성공적인 진출이라는 과제를 수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1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티웨이항공은 이달 31일 정기 주주총회를 개최하고, 정 대표의 사내이사 재선임안을 다룰 계획이다.

1958년생인 정 대표는 고려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한 뒤 1986년 대한항공에 입사했다. 고객서비스센터 지원 그룹장과 국내선 영업팀장, 나고야 지점장을 거쳐 2009년 진에어 경영지원부서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항공업계에서 알아주는 '영업통'인 정 대표는 국내 1위 대형항공사(FSC)와 계열 LCC에서 쌓은 경험을 토대로 2013년 티웨이항공 영업서비스본부 본부장으로 영입됐다. 특히 일본지역 서비스를 전담하던 그는 2015년 말 외부 출신임에도 대표이사까지 올랐다.

이듬해 3월 3년 임기로 사내이사에 선임된 정 대표는 2019년 3월에 재선임에 성공했다. 올해 주총에서 2연임에 나서는 만큼, 총 임기는 오는 2025년 3월까지로 늘어나게 된다.

정 대표는 국내 LCC 9개사 대표 중 가장 오랜 기간 대표직을 유지했다. 정 대표와 함께 장수 CEO로 불리던 최정호 전 진에어 대표이사는 지난 1월 한진그룹 임원인사에서 부사장으로 승진했고, 대한항공으로 영전했다.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는 2020년 취임했고, 에어부산과 에어서울 대표도 같은해 교체됐다.

항공업계에서는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정 대표가 이번 임기도 무리없이 마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에 따른 진에어와 에어부산, 에어서울 3사의 통합 시점이 2025년 이후께로 예상되는 만큼, 경쟁사인 티웨이항공이 대대적인 경영진 교체를 지양할 것이란 분석이다.

정 대표는 우선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영난에서 벗어나는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티웨이항공은 다음달 1190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의 유상증자를 실시한다. 티웨이항공은 과거 흥행 실패로 유상증자에 실패한 경험이 있는 만큼, 정 대표는 최대한 많은 투자자를 유입시켜야 한다.

특히 티웨이항공이 중장거리 노선 취항을 준비 중인 만큼, FSC 경험이 있는 정 대표의 역할은 매우 중요할 수밖에 없다. 티웨이항공은 지난달 25일 A330-300 1호기를 신규 도입했다. 이 기종은 중장거리 노선 운항이 가능한 대형 기종으로, 싱가포르, 호주 시드니, 하와이, 동유럽 등 노선에 투입될 예정이다.

또 올해 5월까지 A330-300 기종 2, 3호기를 추가 도입할 계획이다. 운항정지 여파로 도입 일정이 다소 미뤄진 B737-맥스8 2대도 연내 들여올 예정이다. B737-맥스8 기종도 싱가포르 등 중거리 노선에 띄울 수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티웨이항공 1대주주인 티웨이홀딩스나 2대주주인 JKL파트너스 입장에서도 정 대표를 능가하는 항공 전문가를 영입하기 힘든 상황"이라며 "정 대표가 코로나19 상황도 잘 버텨온 만큼, 내부 직원들의 지지 역시 큰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세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