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외곽수로 외부오염원 유입 심각”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외곽수로 외부오염원 유입 심각”

등록 2022.01.10 13:54

주성남

  기자

공유

하천 환경기준의 최대 7배 초과

유입수로 지점별 위치유입수로 지점별 위치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2021년 외곽수로 10개 지점에 대한 수질조사 결과, 주변 산업단지 및 농경지역 오‧폐수 유입 등 외부오염원으로 인한 수질 오염도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공사는 2012년부터 매립지의 외곽수로로 유입되는 외부 오염원의 수질을 매달(동절기 제외) 15개 지점 중 10개 지점을 선정해 5개 항목(pH,CODMn,SS,T-N,T-P)에 대해 수질 오염도를 조사하고 있다.

조사 결과 제2매립장 북측수로의 오염도가 가장 심각했고 야생화공원·제1매립장동측, 안암호의 수질오염이 그 뒤를 이었다.

하천 환경기준(Ⅲ등급, 보통)대비 항목별 오염도는 CODMn의 경우 제2매립장 북측수로는 환경기준(7㎎/L 이하)의 4.1배(29㎎/L), 야생화공원·제1매립장 동측은 3.1배(25㎎/L), 안암호는 2배(14㎎/L)를 초과했으며 부유물질(SS, 환경기준 25㎎/L 이하)은 2매립장 북측수로의 경우 7배(174㎎/L), 야생화공원·제1매립장 동측은 2.2배(54㎎/L), 안암호는 1.3배(32㎎/L)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2매립장 북측수로의 오염은 검단하수처리장 및 검단산업단지 폐수종말처리장 방류수, 건설폐기물 중간 처리업체들의 강알칼리(pH 9~10) 폐수 등 매립지 외부에서 오염원이 유입되기 때문에 수질 오염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드림파크 야생화공원 북측에서 동측으로 이어지는 외곽수로의 경우 한들지구 도시개발로 인한 토사와 오수 유입 등으로 인해 질소(T-N), 인(T-P)을 비롯한 CODMn, SS 등 수질오염이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공사 김재원 맑은환경부장은 “수도권매립지 외곽수로의 경우 외부 오염원 유입에 따른 수질오염 악화를 지켜볼 수밖에 없어 인천시와 서구청에 지도점검, 단속을 요청하는 것 외에는 대책이 없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주성남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