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1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고승범 금융위원장, 내일 이주열 한은 총재와 회동···가계부채 등 논의

고승범 금융위원장, 내일 이주열 한은 총재와 회동···가계부채 등 논의

등록 2021.09.02 16:54

차재서

  기자

공유

사진=금융위원회 제공사진=금융위원회 제공

고승범 신임 금융위원장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와 만나 가계부채 관리와 전자금융거래법(전금법) 개정 등 현안에 대한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2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고승범 위원장은 3일 오전 10시 한국은행을 찾아 이주열 총재와 대회의실에서 면담을 가질 예정이다.

약 1시간의 환담에서 고 위원장과 이 총재는 가계대출 증가와 부동산 가격 상승을 비롯한 금융 불균형 문제를 진단하고 대책을 논의할 것으로 점쳐진다.

가계대출 관리를 최우선 과제로 지목한 고 위원장은 “지난주 금융통화위원회가 코로나19 위기 이후 주요국 최초로 기준금리를 인상했고, 미 연준의 테이퍼링과 글로벌 금리인상, 유동성 축소는 조만간 가시화될 필연적 ‘금융·통화정책 정상화’ 과정”이라며 “과도하게 늘어난 가계부채와 과열된 자산시장간 상호 상승작용의 연결고리를 지금부터 어떻게 끊어내느냐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 역시 “금융당국도 거시건전성 규제를 큰 폭으로 강화해왔는데 경제주체의 소위 위험선호, 차입에 의한 수익추구행위가 지속되고 있다”면서 “금융불균형 해소를 위해선 거시건전성 정책과 함께 통화정책적 대응이 동반돼야 한다”는 견해를 내비치기도 했다.

이와 함께 두 사람이 전금법 개정에 대한 의견을 주고받을지 여부도 관심사다.

윤관석 정무위원장(더불어민주당)이 작년 10월 발의한 전금법 개정안은 지급지시전달업(마이페이먼트)과 종합지급결제사업자 라이선스 도입, 대금결제업자 후불결제업무(소액) 허용, 빅테크 관리감독체계 마련 등을 골자로 한다. 네이버나 카카오 등 빅테크가 소비자와 금융 거래를 할 때 투명성 확보 차원에서 외부 청산기관인 금융결제원을 거치도록 하는 내용도 담고 있다.

다만 한국은행 측은 법안 개정 시 청산기관인 금융결제원이 금융위의 감독을 받는다는 데 불편해하고 있다. 금융결제원 등을 통해 수행하는 결제리스크 관리, 유동성 지원 등 업무와 충돌이 불가피할 것이란 우려다.

금융위원장과 한국은행 총재의 회동은 지난 2월18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이 총재와 당시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홍남기 경제부총리, 윤석헌 금융감독원장과 함께 만난 이후 약 6개월 보름만이다.

고 위원장은 2016년 4월21일부터 지난 20일까지 약 5년4개월 동안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