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3일 금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유명희 “WTO, 탄소중립 위해 환경 분야 개방 촉진해야”

유명희 “WTO, 탄소중립 위해 환경 분야 개방 촉진해야”

등록 2021.02.17 13:32

주혜린

  기자

공유

사진=연합뉴스 제공사진=연합뉴스 제공

정부가 세계무역기구(WTO)에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환경 관련 상품 및 서비스 시장의 추가 개방을 제안하기로 했다.

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17일 서울 강남구 한국무역협회에서 열린 ‘2050 탄소중립을 위한 통상 전략 포럼’ 모두발언에서 “WTO를 중심으로 하는 다자무역체제가 기후변화 및 환경 문제와 관련해 더욱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유 본부장은 "코로나19 보건 위기로 인해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상황에서 주요국의 연이은 탄소중립 선언과 그린시장 선점 경쟁 가속화,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파리협정 복귀에 따른 신기후체제 본격 가동 등 기후변화와 환경 관련 이슈가 부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3월 예정된 WTO의 무역과 환경 협의체(TESSD)에서 환경 상품의 관세 인하 및 환경 서비스 시장의 추가 개방을 촉진하고, 탄소국경조정제도 등 환경 관련 조치에 대한 WTO 차원의 검토와 협의를 강화하는 방안을 제안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TESSD는 한국, 유럽연합(EU), 스위스, 호주, 캐나다 등 50여개국이 참여하는 협의체로, 다음 달 첫 공식회의를 시작으로 차기 WTO 각료회의(MC-12) 전까지 최소 4차례 회의가 열릴 예정이다.

유 본부장은 “이 같은 제안을 통해 우리 기업의 환경 분야 해외 시장 진출 지원과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며 “나아가 기업의 환경친화적 기술 개발과 친환경 체제로의 전환을 촉진하고, 탄소국경세 등 환경 관련 조치의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유 본부장은 WTO뿐 아니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G20 등 다른 국제기구에서도 무역과 환경 관련 논의를 주도해 2050년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전 지구적 노력에 기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산업연구원 등 정책연구원과 대한상공회의소·철강협회·무역협회 등 협회 관계자, 학계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무역 및 환경 관련 시장개방 촉진과 규범 검토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고, 우리나라가 책임 있는 통상 강국으로서 무역과 환경 이니셔티브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냈다.

뉴스웨이 주혜린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