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관피아 일색 거래소··· 관료출신 상임이사 2017년 이후 두 배 폭증

관피아 일색 거래소··· 관료출신 상임이사 2017년 이후 두 배 폭증

등록 2020.11.18 15:34

조은비

  기자

공유

정지원 전 이사장 재임 3년 7명 중 4명이 관료비상임이사도 8명 중 통산 1~2명이 전관 장악

관피아 일색 거래소··· 관료출신 상임이사 2017년 이후 두 배 폭증 기사의 사진

‘관료 이사장 인사’로 지적 받는 한국거래소의 관료 출신 상임이사가 2017년 이후 그 이전보다 두 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정지원 전 거래소 이사장이 재임했던 3년 내내 금융위원회 출신인 정 이사장을 포함해 상임이사 총원 7명 중 무려 4명이 금융위원회, 기획재정부, 금융감독원 등 출신이었다. 역대 거래소 이사장 중 내부 출신은 박창배 이사장(1998년)이 유일하다.

비상임이사의 경우 총원 8명 중 통상 1~2명이 전관 출신으로 파악됐다. 본지 집계 시 관료는 기획재정부, 금융감독원, 금융위원회 등 정부부처 및 유관기관 출신이거나 현재 위원 등으로 활동 중인 인물로 한정했다. 거래소 직원들은 “이사장과 이사는 일개 직원이 넘볼 수 없는 공식적인 낙하산 자리”라고 꼬집고 있다.

정 전 이사장은 최근 손해보험협회 회장 단독 후보로 출마해 선출된 후 지난 16일 거래소 이사장 이임식을 마쳤다. 현재 채남기 경영지원본부장이 직무대행 중이다. 채 직무대행은 거래소 내부 출신이다. 거래소 비상임이사가 참여하는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지난 13일 기존 계획보다 늦게 이사장 후보 공고를 내고 차기 이사장 선출 절차에 돌입했다.

이에 지난 17일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한국거래소지부(지난해 말 전체 임직원수 895명 중 673명 규모)는 성명서를 내고 “금융위 출신 관료에게 더 이상 거래소를 맡길 수 없으며, 현 이사장후보추천위원회는 이미 독립성을 잃었다”고 규탄했다. 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 명단조차도 명확히 밝히지 않고 있어 내부 불만은 더욱 커지고 있다.

관피아 일색 거래소··· 관료출신 상임이사 2017년 이후 두 배 폭증 기사의 사진

이사후보추천위원회(이하 후추위)는 총 9명으로 구성된다. 이 중 거래소 비상임이사가 5명 포함돼야 한다. 노조는 후추위에 참여하는 공익대표 비상임위원 3명은 유병천, 한상국, 정순섭 이사가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이 중 정순섭 이사가 금융위 비상임위원으로 있다. 임종섭 이사의 참여 여부는 불확실하다.

업계대표 비상임위원 2명은 박현철, 정일문 이사가 될 전망이다. 업계대표 3인 가운데 1인인 원종석 이사가 지난 11월 1일자로 임기 만료됐기 때문이다. 후추위 총원 9명 가운데 5명이 거래소 비상임이사다. 나머지 4명 중 2명은 금융투자협회 인사로 채워지며 상장사협의회에서 1명, 코스닥협회에서 1명이 후추위에 참여한다.

노조는 관료 출신이 아니더라도 이사장후보추천위원회가 금융위원회에 ‘완전히 종속’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동기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한국거래소지부 위원장은 “후추위원 총 9인 중 4인이 금융위가 (사업 등) 인허가권을 쥔 금융투자 회사 대표(업계대표 비상임이사 2명, 금융투자협회 추천인사 2명)로 구성돼 있어 그 자체가 독립적이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거래소는 이번 이사장 선출과 함께 지난 9월 김용진 비상임이사가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으로 떠나면서 생긴 궐석에 누가 충원될 지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김 전 이사는 비상임이사이자 감사위원을 역임했기 때문에 이번 선출되는 비상임이사는 감사위원 자리에 갈 확률이 높다. 원종석 신영증권 대표이사가 유임하면서 감사위원을 맡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뉴스웨이 조은비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