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홍남기 “제2금융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보완 필요”

홍남기 “제2금융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보완 필요”

등록 2020.08.20 16:17

주혜린

  기자

공유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제2금융권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과 관련해 “보완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 ‘제2금융권의 DSR이 70%가 넘는 고위험 수준인데 제대로 된 이행이 필요하다’는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의원의 지적에 “2018년부터 (강화된 DSR 규제를) 도입하면서 저도 현장에서 정확하게 규제돼 있지 않은 측면이 있다는 보고를 받았다”며 이렇게 답했다.

우 의원은 “최근 금융위원회가 급증하는 신용대출 잔액 문제와 관련해 은행권에 DSR 규정을 잘 준수하라고 경고했는데, 은행이 잘 지키고 있지 않다”면서 “통상 (적정 DSR 비율을) 40% 상환으로 보는데 현재 제2금융권에 도입한 (평균) DSR 기준은 상호금융 160%, 저축은행 90%, 보험 70%, 캐피탈사 90%, 카드사 60% 이렇게 적용된다. 대부분 제2금융권으로 가면 비율이 70%를 넘는 고위험 DSR”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기재부가 할 일은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당부하는 데 그치게 할 것이 아니라 제2금융권이 부실한 부분을 강화하고 제대로 이행하도록 금융당국과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우 의원이 ‘2016년부터 현재까지 주택담보대출보다 신용대출, 개인사업자 대출이 더 많은 이유가 부동산 자금으로 쓰이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있다’고 묻자 “풍선효과처럼 대출 규제를 피하려고 하는 것도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주혜린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