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노래방 N차 감염···“비말 생성 많고 환기 어려워”

노래방 N차 감염···“비말 생성 많고 환기 어려워”

등록 2020.05.17 19:05

주동일

  기자

공유

“공조시스템 통한 환경 검사 진행 중”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다녀간 서울 도봉구 한 코인노래연습장 출입구에 17일 점검중 팻말이 붙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다녀간 서울 도봉구 한 코인노래연습장 출입구에 17일 점검중 팻말이 붙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노래방을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퍼지는 경우가 늘고 있다. 특히 이태원 클럽발 코로나19 집단감염에서 이 같은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방역 당국은 침방울(비말) 생성이 많고 환기가 어려운 노래방 특성에 더해 마스크 착용까지 잘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본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은 17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감염에 노출된 노래방이 세 군데 정도 있어서 노래방에 대한 조사를 계속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이 중 서울 관악구와 도봉구의 노래방 각각 한 곳은 이태원 클럽 관련 4차 감염의 매개가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마포구의 한 노래방도 동작구 33번, 강서구 31번 확진자의 방문을 통해 방문해 ‘반복 대량 노출 장소’로 분류했다. 방역 당국은 폐쇄회로(CC)TV 확인과 환경 검체 채취를 통해 전파 경로를 파악 중이다.

정 본부장은 “코인노래방은 방이 굉장히 좁고, 밀집해 있으며, 환기가 불충분하다”며 노래방의 특성을 지적했다. 이 같은 공간적 특성이 감염 전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했다.

이어 “노래를 부르고 나올 때 방문을 열어서 환기를 시킨다”며 “야외로 환기가 되는 게 아니라 공용공간인 복도로 공기가 확산이 돼서 주변에 감염시켰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정 본부장은 “공용공간을 통한 접촉으로 전염됐을 가능성이 아직은 더 높다고 보고 있다”며 “공조시스템에 의한 것들은 환경 검사를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마스크를 쓰더라도 노래를 부를 때는 마스크를 쓰기 어렵다”며 “실내공간은 손이 많이 가는 문고리나 표면, 탁자 이런 곳을 소독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주동일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