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생보사, 3분기 누적 순익 4조···삼성생명 전자株 처분효과

생보사, 3분기 누적 순익 4조···삼성생명 전자株 처분효과

등록 2018.11.29 12:00

장기영

  기자

공유

생명보험사 손익 현황. 자료=금융감독원생명보험사 손익 현황. 자료=금융감독원

올해 국내 생명보험사의 보험영업손실 확대에도 불구하고 삼성생명의 삼성전자 주식 처분 등에 따른 투자영업이익 증가로 3분기 누적 순이익이 4조원을 넘어섰다.

2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생보사의 올해 1~3분기(1~9월) 당기순이익은 4조388억원으로 전년 동기 3조8093억원에 비해 2295억원(6%) 증가했다.

이 기간 보험영업손실은 15조5909억원에서 16조8491억원으로 확대됐으나, 투자영업이익은 17조692억원에서 18조4949억원으로 1조4257억원(8.4%) 늘었다.

투자영업이익에는 업계 1위사 삼성생명이 계열사 삼성전자 주식을 처분해 발생한 일회성 이익 1조958억원이 반영됐다.

원희정 금감원 생명보험검사국 팀장은 “저축성보험 보험료가 감소와 해약 및 만기보험금 증가 에 따른 지급 보험금 증가로 보험영업손실이 확대됐으며, 일회성 요인인 삼성생명의 삼성전자 주식처분이익 등으로 투자영업이익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수입보험료는 81조7320억원에서 77조8939억원으로 3조8381억원(4.7%) 감소했다.

종목별로 수입보험료는 보장성보험이 30조4207억원에서 31조158억원으로 5951억원(2%) 늘었으나, 저축성보험은 30조4268억원에서 25조5450억원으로 4조8818억원(16%) 줄었다.

특히 저축성보험 초회보험료는 5조2495억원에서 3조3287억원으로 1조9208억원(36.6%) 급감했다.

원 팀장은 “보험 국제회계기준(IFRS17) 등 자본 규제 강화에 대비해 저축성보험 판매가 크게 줄어든 반면, 보장성보험 매출 신장은 상대적으로 저조했다”고 말했다.

회사 규모 및 유형별로 삼성생명, 한화생명, 교보생명 등 3대 대형사의 당기순이익은 2조4869억원으로 3072억원(14.1%) 증가해 전체 생보사의 당기순이익 중 60% 이상을 차지했다.

흥국생명, 푸본현대생명, 미래에셋생명, DB생명, 교보라이프플래닛생명, 오렌지라이프 등 6개 중소형사의 당기순이익은 4565억원으로 993억원(27.8%) 늘어 증가폭이 더 컸다.

반면 ABL생명, 메트라이프생명, 처브라이프생명, 푸르덴셜생명, 라이나생명, BNP파리바카디프생명, AIA생명, 동양생명 등 8개 외국계사의 당기순이익은 8628억원으로 1789억원(17.2%) 감소했다.

한편 생보사의 올해 1~3분기 총자산이익률(ROA)은 0.64%, 자기자본이익률(ROE)은 7.43%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01%포인트, 0.1%포인트 상승했다.

뉴스웨이 장기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