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임산부 100명중 3명···기형 유발 여드름 치료제 복용

임산부 100명중 3명···기형 유발 여드름 치료제 복용

등록 2018.04.12 09:39

김선민

  기자

공유

우리나라 임산부 100명 중 3명이 태아 기형을 유발하는 '이소트레티노인' 성분의 먹는 여드름치료제를 복용한 경험이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다른 치료법으로 치료되지 않은 중증의 여드름 치료에 쓰이는 이소트레티노인은 임산부가 복용하면 35%의 태아에서 안면기형, 신경결손, 심장기형, 귀의 선천성 기형, 구순열, 선천성흉선결손증 등 심각한 부작용이 생긴다.

또 기형이 발생하지 않아도 60%에서 정신박약을 일으키며, 임신부의 20%가 자연유산을 경험할 정도로 매우 위험한 약물이기 때문에 이 약을 먹은 임산부의 약 50%가 임신중절(낙태)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단법인 임산부약물정보센터(이사장 한정열 단국의대 산부인과 교수)는 2010년 4월부터 2016년 7월까지 2만2천374명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9%(650명)가 임신 중 또는 임신 전후에 이소트레티노인성분의 여드름치료제를 복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문제는 여드름 치료를 위해 이소트레티노인을 먹더라도 태아 기형 예방 차원에서 약을 끊은 지 30일이 지난 후에 임신을 시도하도록 권고하고 있지만, 약 80%가 이런 권고를 지키지 않았다는 점이다.

650명 가운데 이소트레티노인 사용 중단 30일 이전에 임신해 부작용 위험에 노출된 임산부가 16%(16.0%)였고, 임신 중에 이 약을 먹은 임산부도 62.9%(409명)나 됐고, 사용 중단 후 30일을 넘겨 안전한 시기에 임신한 경우는 21.1%(137명)에 불과했다.

이런 문제에도 불구하고 이소트레티노인은 여전히 비급여 처방이 많고, 온라인상에서 불법거래가 성행하고 있다.

센터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미국과 같은 '임신예방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미국은 2000년대 초부터 별도의 임신예방프로그램(iPLEDGE)을 만들어 운영 중이다.

이 프로그램은 의사가 환자를 등록하고 패스워드를 부여한 다음 지정된 약국의 약사한테서만 이소트레티노인을 살 수 있도록 했다.

또 약물 복용 중 피임과 복용 전후 임신 여부 검사를 환자의 필수사항으로 정했는데, 이런 프로그램은 현재 유럽연합과 영국, 호주 등에서도 시행되고 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