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적폐 인사’의 귀환···흠 많은 OB 복귀길 열어주나

[정찬우 금융권 복귀 논란]‘적폐 인사’의 귀환···흠 많은 OB 복귀길 열어주나

등록 2017.12.04 17:40

정백현

  기자

공유

정찬우 전 한국거래소 이사장. 사진=한국거래소 제공정찬우 전 한국거래소 이사장. 사진=한국거래소 제공

정찬우 전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금융권 복귀를 추진하고 있는데 가운데 그의 복귀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금융권 안팎에서 커지고 있다.

특히 ‘적폐 청산’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금융권의 대표적 ‘적폐 인사’로 분류된 정 전 이사장이 복귀를 추진하면서 정 전 이사장의 복귀가 자칫 과거 과오를 저질렀던 금융권 인사들에게 손쉽게 복귀하는 빌미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 전 이사장은 최근 공직자윤리위원회로부터 금융권 재취업 심사 승인을 받아 금융권 재취업이 가능하게 됐다. 정 전 이사장은 한국금융연구원 복귀를 신청했고 현재 최종 복귀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1995년부터 1년 4개월간 금융연구원 국제금융팀 부연구위원으로 일했던 정 전 이사장은 전남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를 거쳐 다시 금융연구원으로 돌아가 연구위원으로 활동했다.

2006년 재정경제부 금융지원팀장으로 자리를 옮긴 그는 2012년 금융연구원 부원장을 지낸 뒤 2013년부터 2년 10개월간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했다. 지난해 10월 한국거래소 이사장으로 선임됐지만 낙하산 인사 논란에 휘말려 1년을 못 채우고 불명예 자진 사퇴했다.

정 전 이사장의 경력과 금융권 안팎의 평판을 보면 공(功)보다는 과(過)가 훨씬 많은 인물이라는 점이 돋보이는 상황이다.

이런 정 전 이사장의 복귀 추진 소식이 알려지자 금융노조를 중심으로 그의 복귀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그가 ‘만사정통(모든 일은 정찬우를 거쳐야 통한다)’이라는 말이 돌 정도로 금융위 부위원장 시절 인사권을 휘둘렀고 최순실-박근혜 국정농단 사건과 관련해 최순실 씨의 금고지기였던 이상화 전 KEB하나은행 독일법인장의 뒤를 봐줬다는 의혹이 발목을 잡고 있다.

금융노조는 “정 전 이사장은 박근혜 전 대통령 재판에 증인으로 나와 인사 특혜에 영향을 미쳤다고 스스로 증언한 인물”이라며 “그런 사람이 금융계에 복귀하는 것은 철면피가 아니고서는 할 수 없는 일이며 금융연구원도 권력에 영혼을 파는 적폐 조직”이라고 비난했다.

금융연구원 측은 아직 정 전 이사장의 복귀가 확실히 정해진 것이 아니라는 입장을 내고 있다. 그러나 금융권 안팎에서는 이번 복귀 추진이 다른 금융권 OB(올드보이)들의 부정한 복귀를 조장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이명박-박근혜 정부 당시 관료나 금융권 고위직에서 일했던 이들이 복귀를 추진하는 움직임이 서서히 감지되고 있다.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의 경우 정 전 이사장이 복귀를 신청한 금융연구원 초빙연구위원으로 이미 활동 중이고 다른 인사들 역시 다양한 형태로 금융권 복귀를 타진하고 있다. 문제는 이들 대부분이 정 전 이사장과 마찬가지로 금융권 내에서 지탄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무엇보다 사람에 대한 신용과 평판이 좋아야 하는 금융권 내에서 과오를 저지른 인사가 편법적인 방식으로 금융권의 돌아오려 한다면 금융권 전체를 욕보이는 일이 될 것”이라며 “정 전 이사장의 복귀는 철저히 재고돼야 할 문제”라고 꼬집었다.

뉴스웨이 정백현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