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주형환 “유통산업, 복합 쇼핑몰과 같은 플랫폼 사업자로 발전해야”

주형환 “유통산업, 복합 쇼핑몰과 같은 플랫폼 사업자로 발전해야”

등록 2017.03.26 11:00

주현철

  기자

공유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6일 “우리 유통업체들도 복합 쇼핑몰과 같은 새로운 업태를 끊임없이 개발하고 신기술 도입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플랫폼 사업자로 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 장관은 이날 스타필드 하남에 방문해 “인공지능, 빅데이터, 가상·증강현실 등 4차 산업혁명으로 일컬어지는 기술혁신이 유통산업 전반에 걸쳐 창조적 파괴를 가져오고 있다”고 밝혔다.

주 장관은 “유통산업이 단순히 상품과 서비스의 거래를 중개하는 전통적 영역을 넘어 지식과 정보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니즈를 생산자에게 전달하는 고객 기업 간 전자상거래(C2B) 모델로 확대되고 있다”며 “정부는 생태계의 조력자로서 신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융한 생태계를 조성하고 신기술 도입 촉진과 시장창출 등을 집중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산업부가 추진 중인 계획은 세 가지다. 우선 오는 29일 1차관 주재로 출범하는 유통산업 융합얼라이언스를 통해 유통-물류-정보기술(IT)-제조업체가 함께 참여해 4차 산업혁명 신기술과 유통산업이 결합된 새로운 사업형태를 개발한다.

또한 가상현실(VR) 쇼핑몰을 10월 코리아세일페스타때 공개하는 등 유통업계의 신기술 도입과 실증사업을 통해 새로운 유통서비스 시장의 창출을 촉진한다. 상품등록·판매·배송·통관 등 역직구 전주기에 걸친 걸림돌을 제거하고 200억 원 규모의 정책자금 지원, 세계무역기구(WTO) 전자상거래 국제규범 제정 선도 등을 통해 올해 온라인 수출을 3조원 이상으로 대폭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주 장관은 “복합쇼핑몰 등 대규모 점포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있지만 전통시장과 중소상인의 반대 목소리도 적지 않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상생협력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와 같이 유통산업을 둘러싼 현재의 갈등을 해결하고 미래에 대한 투자를 촉진해 유통산업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신산업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뉴스웨이 주현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