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수출비중 절반인 소재부품 6분기째 ‘마이너스’

수출비중 절반인 소재부품 6분기째 ‘마이너스’

등록 2016.10.18 11:27

현상철

  기자

공유

1~9월 수출 6.9% 감소총수출 비중 51.1% 사상 최고치

우리나라 수출에서 절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는 소재부품이 6분기 연속 뒷걸음질 치고 있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전자부품과 화합물 및 화학제품 감소가 주요하게 작용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8일 발표한 ‘2016년 3분기 소재부품 교역동향’에서 올해 3분기까지 소재부품 수출은 1857억 달러를 기록해 6.9% 감소했다고 밝혔다. 3분기만 놓고 본다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1% 감소했다.

소재부품 수출은 지난해 2분기(-1.8%) 이후 6분기 동안 마이너스를 이어가고 있다.

단, 올해 1분기 11% 감소를 기록한 이후 점차 감소폭이 축소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다. 또 수출증감률에 단가기여도가 점차 축소되고 있고, 물량기여도는 3분기에 플러스로 전환돼 추세적으로 볼 때 전체 소재부품 수출은 감소세를 줄여나가고 있다.

소재부품이 우리나라 총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3분기 사상 최고치인 51.1%를 기록했다. 1995년 34%, 2000년 46.4%, 2010년 49.1%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올해 1~9월까지 소재부품 수출을 지역별로 보면 중국(-13.2%)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아세안(4.6%)과 일본(1.3%)은 증가했다. 중국의 경우 자국산 부품사용 장려와 가공무역 제한정책, 우리기업의 진출 둔화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품목별로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전자부품이 12.7%나 감소하는 등 대부분의 수출이 감소했다. 단, 컴퓨터 및 사무기기(9.5%), 고무 및 플라스틱(2.7%) 등 일부 품목은 증가세로 전환됐다.

소재부품 수입은 1128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6.5% 감소했다. 같은 기간 총수입의 38.2%를 차지했다.

한편, 산업부는 오는 11월 15일부터 이틀간 ‘2016 소재부품-뿌리산업 주간’을 열고 소재부품 성과 전시 및 관련 중소·중견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세종=현상철 기자 hsc329@

뉴스웨이 현상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