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서울 18℃

인천 19℃

백령 18℃

춘천 18℃

강릉 16℃

청주 18℃

수원 17℃

안동 17℃

울릉도 20℃

독도 20℃

대전 20℃

전주 20℃

광주 20℃

목포 20℃

여수 20℃

대구 19℃

울산 20℃

창원 20℃

부산 20℃

제주 23℃

주총담합···개인 주주 소외 여전

주총담합···개인 주주 소외 여전

등록 2016.03.11 14:06

김민수

  기자

공유

‘한날한시’ 관행 안고쳐져··· 여러 종목 가진 투자자 참여 힘들어연기금·기관은 배당 외엔 ‘뒷짐’··· 전자투표제 도입도 여전히 미흡

12월 결산법인의 주주총회가 일제히 시작된 가운데 11일 ‘주총 데이’를 맞아 삼성전자와 현대차그룹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이 일제히 정기 주주총회를 소집했다. 하지만 예년처럼 같은 날 오전 9시에서 10시 사이 주총이 동시에 열려 주주들이 직접 참석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연기금·기관의 ‘거수기’ 행태가 또 다시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적지 않다.

11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다르면 이날 주주총회를 여는 곳은 삼성전자와 삼성물산, 제일기획, 현대차, 현대글로비스, 현대모비스, 포스코 등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46개사와 코스닥 상장사 8개사 등 총 54곳이다.

오는 18일과 25일에는 전체의 70%가 넘는 기업들이 주총을 앞두고 있다. 3월 하순 금요일 오전에 열리는 관행이 올해도 반복된 것이다.

때문에 여러 회사의 주식을 가진 투자자들은 1년에 한 번 주주로써의 권리를 행사하기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이 같은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 2010년부터 전자투표제가 도입됐지만 기업들이 시행 자체를 기피해 대리인 또는 우편을 활용해서만 참여할 수 있었다. 최근 주주권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정부당국도 전자투표제 시행을 권유하면서 다소 완화됐지만 여전히 충분치 않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실제로 전체 12월 결산 상장법인 1975사 가운데 주식투자자는 중복 실질주주를 제외해도 475만명에 달했다. 이 중 개인주주는 99%인 470만명이었고, 1인당 평균 보유주식 수는 6000주 정도다.

반면 주총에서의 의사표시가 어려운 개인투자자와 달리 중복된 일정을 소화할 수 있는 연기금·기관은 오히려 주주로써의 권리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다는 비판에 휩싸여 있다.

올해 가장 주목을 끄는 연기금은 역시 국민연금이다.

지난해 말 기준 국민연금이 5% 이상 지분을 보유한 기업은 300여개에 육박하고, 엔씨소프트와 네이버, KB금융 등에서는 최대주주 위치에 있으며, 10% 이상 지분을 보유한 기업도 70개가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국민연금은 주로 기업들의 배당 확대를 강조한 바 있다. 올해도 수익성 강화와 주주가치 제고를 목적으로 투자 기업에 대한 배당 확대 요구를 확대할 것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공통된 분석이다.

국민연금 뿐 아니라 다른 기관투자자들의 목소리 또한 높아질 전망이다. 하지만 이는 배당에 한정된 것일 뿐 이사·감사 선임과 합병 또는 분할, 대표이사 선임 등에서는 여전히 회사 측 입장을 그대로 따를 것이라는 지적이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주주의 정당한 권리를 보장하는 차원에서라도 개인투자자들의 참여를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은다. 현재의 주총이 대부분 ‘짜여진 각본’에 의해 진행되는 만큼 주총 일정 분산, 전자투표제 활성화 등이 시급하다는 설명이다.

이에 대해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주요 기업들의 주주총회가 한날 한시에 열리는 관행은 오랫동안 꾸준히 지적된 부분”이라며 “일반투자자들의 주주권 확보를 위해서라도 ‘디지털 주총’ 활성화, 기관투자자들이 적극적으로 경영을 감시하는 ‘스튜어디십 코드’와 같은 제도 도입에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민수 기자 hms@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민수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