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세종 연말 착공···수원~광명, 광주~원주 올해 개통
국토교통부가 사회간접자본(SOC) 조기확충과 경제활성화를 위해 도로 분야 민간투자를 확대하기로 했다.
21일 국토부에 따르면 작년(2조 2000억 원)에 비해 18%가 증가한 2조 7000억 원의 민간자본을 구리-포천 등 추진 중인 11개 고속도로에 투입한다.
세부적으로 보면 구리-포천 5600억원, 상주-영천 5261억원, 인천-김포 3798억원, 광주-원주 3551억원 등이다.
아울러 서울-세종(약 6조 7000억 원), 경인지하화(약 1조 원) 사업의 추진과 신규사업 적극 발굴을 통해 민간투자를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세종 고속도로는 서울-성남 구간을 일괄입찰(턴키) 방식으로 올해 말 착공하고, 성남-안성 구간은 일반공사 방식으로 내년 말 착공해 서울에서 안성까지 2022년 우선 개통한다.
안성-세종 구간은 민자적격성조사를 올해 완료하고, 내년에 협상에 착수하는 등 절차를 신속히 진행해 2025년 이전에 개통할 계획이다.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사업은 올해 민자적격성 조사에 착수하고,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하는 등 사업 추진을 본격화한다.
경인지하화 사업이 완료되면 도로 용량이 늘어나고, 이용자들이 지하의 고속도로와 상부의 일반도로를 선택해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 경인고속도로 주변 낙후지역의 도시재생도 촉진되어 지역발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세종 고속도로, 경인지하화 사업 및 신규 발굴 사업은 통행료를 낮추고, 재정지원을 최소화하기 위해 작년에 새로 도입된 투자위험분담방식(BTO-a, BTO-rs)을 적용하게 된다.
손익공유형(BTO-a)과 위험분담형(BTO-rs)은 정부와 민간의 적절한 위험분담을 통해 사업 수익률을 낮추고, 이를 통해 통행료와 재정지원을 최소화하는 방식이다.
이와 함께 수도권 서남부 지역의 혼잡 개선을 위한 수원-광명(27.4km)과 평창동계올림픽을 지원하고 영동고속도로 정체를 완화하기 위한 광주-원주(57.0km) 고속도로를 각각 4월과 11월에 개통한다. 봉담-송산(18.2km)?이천-오산(31.3km) 고속도로도 올해 착공하는 등 진행 중인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또 국민들이 민자 고속도로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재정-민자 무정차 통행료납부(One-Tolling) 시스템을 올해 11월 시행한다.
그간 도로공사가 운영하는 고속도로와 민자 고속도로를 연이어 이용할 경우 중간에 정차해 통행료를 지불해야 했으나, 원톨링 시스템이 도입되면 중간 정차 없이 최종 출구에서 한 번만 지불하면 된다.
예컨대, 현재는 서울에서 광주까지 경부?천안-논산?호남 고속도로 이용 시 통행료를 총 3회 지불해야 하지만, 앞으로는 광주요금소에서 통행료를 한 번만 지불하면 된다.
김일평 국토부 도로국장은 “한정된 재정여건을 보완해 필요한 도로를 적기에 확충하기 위해서는 민간 투자가 병행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최근의 저금리 기조로 풍부한 민간자본을 좋은 조건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회간접자본(SOC) 조기 확충 및 경제활성화를 위해 민간투자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성배 기자 ksb@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성배 기자
ksb@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