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수출 8개월 연속 감소···유가 하락·中 톈진항 폭발 직격탄

수출 8개월 연속 감소···유가 하락·中 톈진항 폭발 직격탄

등록 2015.09.01 10:22

수정 2015.09.01 10:26

김은경

  기자

공유

8월 수출 393억弗···전년比 14.7% 감소
산업부, 8월 수출입동향 발표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제공자료=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우리나라 수출입이 8개월 연속 동반 감소했다. 수출은 유가 하락과 중국 톈진항 폭발 등 대외 악재로 올 들어 가장 큰 감소폭을 나타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8월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14.7% 감소한 393억2500만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은 18.3% 줄어든 349억7800만달러로 집계됐다. 이로써 무역수지는 43억4700만달러를 기록해 43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수출단가는 유가 하락과 공급과잉 등으로 18% 감소했으나, 물량은 3.8% 증가했다. 환율상승으로 원화표시 수출 감소율은 1.9%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유가 하락 영향으로 석유제품 석유화학 수출이 각각 40.3%, 25.7% 감소했다. 소폭 증가하던 국제유가(두바이유)는 7월 배럴당 55.6달러에서 8월 47.8달러로 하락했다.

무선통신기기, 반도체는 신제품 출시와 시스템반도체 호조로 각각 19.0%, 4.7% 상승했으나, 대부분 주력 품목 수출은 줄줄이 감소했다. 구체적으로 컴퓨터(-0.3%), 평판DP(-6.8%), 가전(-8.7%), 자동차(-9.1%), 일반기계(-15.5%), 자동차부품(-15.9%), 철강제품(-17.4%), 섬유류(-21.4), 선박(-51.5%) 등이다. 신규 주력 수출품목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화장품 수출은 각각 81.0%, 26.0%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베트남 수출은 32.4%로 두 자릿수 증가세를 기록했다. 최대 교역국인 중국 수출은 텐진항 폭발과 중국 경제 침체에 따른 수입수요 감소로 8.8% 줄었다. 이 외에도 일본(-24.4%), 아세안(-6.5%), 미국(-4.4%), 중남미(-21.3%), 유럽연합(EU, -20.8%), 독립국가연합(CIS, -44.9%), 중동(-19.2%) 등으로의 수출이 감소했다.

수입의 경우 원자재는 단가하락으로 31.3% 줄어들었으나, 자본재 소비재는 각각 9.6%, 4.5% 늘었다.

산업부 관계자는 “3분기에는 당분가 유가 하락세에 따른 유가영향 품목과 선박 부문에서 수출 감소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OLED, SSD, 화장품 등 신규품목과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등은 호조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며 4분기부터는 선박 인도물량 증가, 자동차 신차출시 등에 힘입어 수출증감률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은경 기자 cr21@

뉴스웨이 김은경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