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새정치, 의원 정수 증대 방안에 ‘갈팡질팡’

새정치, 의원 정수 증대 방안에 ‘갈팡질팡’

등록 2015.07.27 10:17

문혜원

  기자

공유

새정치민주연합은 국회의원 정족수 증대 방안을 두고 ‘갈팡질팡’하며 어수선한 모양새를 띄고 있다. 당 혁신위원회는 의원수를 369명으로, 이종걸 원내대표는 390명으로 늘릴 것을 각각 제안했지만 당 최고위원회는 이에 대한 즉각적인 당론 추진을 회피하고 있다.

새정치연합 당 혁신위원회는 지난 26일 현행 국회의원 정수를 300명보다 확대한 369명으로 늘리는 내용을 담은 5차 혁신안을 발표했다.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이와 관련 “지역구 의원수 246명을 유지한다는 전제 아래 중앙선관위가 지난 2월 제시한 지역구 대 비례대표 의석비율 ‘2대 1’을 적용하면 의원 정수가 369석이 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혁신위는 369명이라는 숫자가 하나의 ‘예시안’이라고 전제하면서도 지역구를 현재보다 줄이는 ‘정치적 명분’은 없다며 해당안을 정당화하고 나섰다.

여기에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같은 날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의원수를 390명으로 늘리는 대신 의원 세비를 절반으로 감축하겠다는 파격적인 방안을 들고 나서 논란은 점점 가열됐다.

이 원내대표는 “지역구와 비례대표의 비율을 2:1로 가야 한다”며 “의원 정수가 300명 체제라면 (지역구 대 비례대표는) 200:100이고, 390명 체제라면 260:130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의원세비 50% 삭감과 관련해서는 “의원정수 확대에 부정적 시선이 있는만큼 ‘반값 세비 시대’를 열어야 한다. 한국 세비가 국민소득수준 등을 볼 때 높은 편”이라며 “남는 세비를 국회 전문위원 재구성 등으로 돌려 전문성을 보강하고 국민의 뜻이 각 국회의원에 스며들 수 있게 해 보다 성숙한 대의제를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에 대해 부정적 여론이 확산되자 새정치연합은 결국 이날 오후 늦게 긴급 최고위원회를 소집해 수습에 나섰다.

최고위 직후 대변인 브리핑을 통해 새정치연합은 “혁신위의 5차 혁신안과 이 원내대표의 의원정수 발언은 당 차원에서 전혀 논의된 바 없으며 이 원내대표의 개인적 견해임을 확인했다”며 “국회의원 정수 문제는 국민의 동의가 필요한 매우 중대한 사안인만큼 신중하게 접근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혜원 기자 haewoni88@

뉴스웨이 문혜원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