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는 VoLTE 시대 개막에 맞춰 VoLTE 기능을 더 고도화하고, 차별화된 관련 상품과 서비스를 출시한다.
전체 LTE 고객 가운데 85%인 1500만 명이 VoLTE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 SK텔레콤은 올해 중 VoLTE 서비스를 활용한 스마트 착신전화(가칭) 서비스를 내놓는다.
이 서비스는 VoLTE 이용자가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TV, 스마트 냉장고 등 유심이 없는 다른 기기를 통해서도 통화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다. 고객은 노트북이나 스마트TV를 시청할 때 스마트폰을 통하지 않고도 통화할 수 있고, 스마트폰을 집에 두고 외출하더라도 노트북 등을 통해 전화를 수신할 수 있다.
KT도 VoLTE 상용 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 나설 방침이다.
KT는 최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기가 LTE를 비롯해 게임, 모바일 IPTV 등 다른 앱을 이용하는 도중 전화가 걸려올 때 화면 전환 없이 기존 서비스를 유지하면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올레 팝업콜, 스팸차단 서비스인 후후 등의 서비스에 VoLTE를 적용하는 한편 향후 VoLTE와 융합한 다양한 서비스를 속속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현재 제공하고 있는 VoLTE 서비스보다 높은 대역폭과 선명한 음질의 통화를 제공하기 위해 하반기부터 차세대 음성 코덱을 탑재한 VoLTE 서비스를 실시한다.
이지영 기자 dw0384@
관련태그

뉴스웨이 이지영 기자
dw0384@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