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정부, 안전산업 활성화에 올해 3조 투입

정부, 안전산업 활성화에 올해 3조 투입

등록 2015.05.19 11:00

김은경

  기자

공유

하반기부터 안전기준심의회 운영···안전기준 체계 관리
소방 웨어러블 기기 등 5대 안전 신기술 개발 박차
안전제품·사이버 보안 등 해외진출 모색
산업부-안전처, ‘제4차 안전산업 육성 지원단 회의’

정부가 안전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올해 3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올해 하반기부터 안전기준을 관리하는 안전기준심의회가 본격 운영되며, 소방 웨어러블 기기 등 5대 안전 신기술 개발에도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 국민안전처는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4차 안전산업 육성 지원단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안전산업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대책에 따르면 정부는 안전대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투자를 확대한다. 도로·철도, 항만·어항, 수리시설, 학교시설, 급경사지 등 노후 시설물을 보수·보강하기 위해 1조9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공기업 안전투자 확대도 유도한다. 이를 위해 올해 말까지 에너지, 도로, 항만 공기업 안전예산 분류기준을 마련하기로 했다.

올 하반기부터 안전처 산하 안전기준심의회를 운영해 안전기준 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국토교통부 산하 시설안전공단의 전담시설물을 축소하고 산업부 소관 가스안전분야 점검진단 분야 중 민간 개방 대상도 검토한다.

안전 신산업 기술 확보에도 나선다. 5대 신기술 개발을 위해 올해 271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소방 웨어러블 기기 ▲자동차 안전주행시스템 ▲건물·선박 내 개인 위치인식 및 경보시스템 ▲국민안전 로봇 ▲스마트 빅보드 등이다.

아울러 정부는 안전제품, 사이버 보안 등 해외진출을 지원할 별도 테스크포스(T/F)도 구성해 추진 과제를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

산업부와 안전처는 관련 과제 이행을 위해 올해 3조원을 투자할 예정이며, 총 15개 법령 재개정 사항 중 11개를 연내 마무리할 계획이다. 육성 지원단 회의를 분기별로 열고 관련 사항을 점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황규연 산업부 산업기반실장은 “민자활용 촉진, 진단 점검 기능의 민간개방, 보험기능 강화 등 민간 참여와 투자 확대 유인 과제의 이행을 통해 민간 중심의 성장 여건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은경 기자 cr21@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은경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