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2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수직증축 리모델링, 오는 25일부터 허용

수직증축 리모델링, 오는 25일부터 허용

등록 2014.04.22 13:04

김지성

  기자

공유

300가구 이상 아파트 관리주체 회계감사 의무화

오는 25일부터 수직증축 리모델링이 허용된다. 공공주택의 층수를 높이고 가구 수를 늘릴 길이 열렸다.

국토교통부는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주택법 시행령 및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일부 개정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22일 밝혔다.

개정안에 따르면 리모델링을 원하는 공동주택은 15% 내에서 가구 수를 늘릴 수 있고, 15층 이상 공동주택은 최대 3개 층까지, 14층 이하는 최대 2개 층까지 층수를 높일 수 있다.

다만 안정성을 위해 건축당시 구조도면이 있는 단지만 수직증축이 허용되고 두 차례에 걸친 안전진단 및 구조안전성 검토, 건축구조기술사의 협력 등을 거치도록 했다.

시행령에서는 또 리모델링 기본계획(10년 단위) 변경 시 가구 수 증가 범위가 10% 내이거나 수요예측이 감소할 때 등은 주민공람 등 절차를 거치지 않도록 했다.

국토부는 건축물 위치나 골조변경이 어려운 리모델링 특성을 고려, 가구간 경계벽 등 일부 주택건설기준은 적용하지 않아도 되도록 특례 규정도 추가했다.

지은 지 15년 이상 지나 리모델링을 할 수 있는 공동주택은 아파트 443만가구를 비롯해 전국적으로 총 559만1000여가구, 19만3000여동에 이른다.

아파트 관리제도도 오는 26일부터 개선된다.

300가구 이상 단지의 관리주체는 매 회계연도 종료 후 10월 31일까지 관리비 등 징수·집행 등에 관한 장부와 증빙서류에 대해 회계감사를 받도록 했다.

아파트 동대표 선출 등 중요 의사결정을 위해 전자투표를 할 때 휴대전화 등을 통해 본인확인을 거치도록 했다.

또 분양·임대 혼합주택단지는 입주자대표회의와 임대사업자가 관리방법 결정·변경, 장기수선계획 조정, 주택관리업자 선정 등을 공동 결정하도록 했다.

협의가 이뤄지지 않을 때는 관리방법 결정과 주택관리업자 선정은 과반수 공급면적을 관리하는 주체가, 그 외 사항은 3분의 2 이상 공급면적을 관리하는 주체의 결정을 따르도록 했다.

김지성 기자 kjs@

뉴스웨이 김지성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