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 서울 28℃

  • 인천 28℃

  • 백령 24℃

  • 춘천 25℃

  • 강릉 24℃

  • 청주 26℃

  • 수원 27℃

  • 안동 23℃

  • 울릉도 27℃

  • 독도 27℃

  • 대전 25℃

  • 전주 26℃

  • 광주 24℃

  • 목포 24℃

  • 여수 26℃

  • 대구 25℃

  • 울산 25℃

  • 창원 26℃

  • 부산 25℃

  • 제주 27℃

LFP 배터리 검색결과

[총 21건 검색]

상세검색

LG엔솔, LFP 배터리 수주 '잭팟'···"3년간 6조원 규모"

에너지·화학

LG엔솔, LFP 배터리 수주 '잭팟'···"3년간 6조원 규모"

LG에너지솔루션이 6조원 규모의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수주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를 통해 5조9442억원 규모의 LFP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매출(25조6000억원) 대비 23.2%에 해당하는 규모다. 계약기간은 2027년 8월 1일부터 2030년 7월 31일까지 총 3년간이다. 계약 상대방은 경영상 비밀유지로 공개되지 않았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계약은 해당 공급 이외에도 고객과의 협의에 따라

SK온-엘앤에프 맞손···美ESS용 LFP 배터리 사업 시동

에너지·화학

SK온-엘앤에프 맞손···美ESS용 LFP 배터리 사업 시동

SK온과 엘엔에프가 북미 ESS 시장을 겨냥한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SK온은 지난 10일 엘앤에프와 북미 지역 LFP 배터리용 양극재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서울 종로구 SK온 그린캠퍼스에서 진행된 업무협약에는 신영기 SK온 구매본부장, 이병희 엘앤에프 최고운영책임자(COO) 등 양사 관계자가 참석했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향후 공급 물량과 시기 등 실질적 협력 방안을

2026년 배터리 시장 키워드 톱5

에너지·화학

[전소연의 배터리ZIP]2026년 배터리 시장 키워드 톱5

#1. 베일 벗는 '꿈의 배터리' 불과 10여 년 전인 2015년만 해도 전고체 배터리는 시장에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당시에는 리튬 이온 배터리가 사실상 배터리 시장을 독점하고 있었고, 전고체 배터리는 단지 '화재에 강한, 에너지 밀도가 높은 배터리'로만 알려졌을 뿐이었죠. 전고체 배터리는 최소 15년, 20년 뒤에나 가능할 기술로 평가받았습니다. 하지만 10여 년이 지난 지금, 전 세계 배터리 기업들은 나란히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앞두고 있습니다. LG

ESS용 LFP 배터리 선점 나선 LG엔솔···첫 타깃은 '북미'

에너지·화학

ESS용 LFP 배터리 선점 나선 LG엔솔···첫 타깃은 '북미'

ESS용 LFP 배터리 시장이 중국 독점 구도인 가운데, LG에너지솔루션이 북미에서 조기 양산에 나섰다. 전기차 수요 둔화 속 전략적 리밸런싱이 북미 시장 공략의 전기가 될지 주목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미시간 홀랜드 공장에서 롱셀 기반 ESS(에너지저장장치)용 파우치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양산을 본격화했다. 이번 양산은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 중 최초로 북미에서 ESS용 LFP 배터리를 대규모로 생산

韓·GM이 콕 찝은 'LMR'···中LFP 대안될지는 '미지수'

에너지·화학

韓·GM이 콕 찝은 'LMR'···中LFP 대안될지는 '미지수'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중심의 저가형 제품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국내 배터리 기업과 GM은 NCM(니켈·코발트·망간)과 LFP의 장점을 절충한 '중간 해법'으로 LMR(리튬·망간·리치) 배터리에 주목하고 있다. 높은 에너지 밀도와 가격 경쟁력을 동시에 잡기 위한 전략이지만, 아직 양산이 본격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LMR이 중국의 LFP 독주 체제를 흔들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평가가 나온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의 제너럴

에코프로비엠, 현대차 등과 친환경 LFP 양극재 기술 개발

에너지·화학

에코프로비엠, 현대차 등과 친환경 LFP 양극재 기술 개발

에코프로비엠은 폐기되는 고철을 재활용해 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는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양극재 기술 개발에 나선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기술 개발에는 현대자동차·기아, 현대제철 등과 협력한다. 프로세스는 현대제철이 재활용 철을 이용해 미세 철 분말 공정 기술을 개발하고, 에코프로비엠이 이를 받아서 LFP 양극재를 개발한 뒤 현대자동차·기아가 평가해 기술 내재화에 나서는 방식이다. 기존 LFP 양극재는 리튬, 전구체를 합성하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