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넷·플랫폼
SOOP, 팝 컬처 박람회서 '음악·버추얼 콘텐츠' 선뵌다
SOOP 스트리머들이 2025 서울팝콘에서 아뮤소 등 대표 음악 공연과 버추얼 스트리머 콜라보 무대를 선보인다. 행사장 내 전용 부스에서는 라이브 방송, 코스프레, 굿즈 판매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돼 관람객과 소통한다. K콘텐츠 생태계 확장도 기대된다.
[총 16건 검색]
상세검색
인터넷·플랫폼
SOOP, 팝 컬처 박람회서 '음악·버추얼 콘텐츠' 선뵌다
SOOP 스트리머들이 2025 서울팝콘에서 아뮤소 등 대표 음악 공연과 버추얼 스트리머 콜라보 무대를 선보인다. 행사장 내 전용 부스에서는 라이브 방송, 코스프레, 굿즈 판매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돼 관람객과 소통한다. K콘텐츠 생태계 확장도 기대된다.
블록체인
아티스트컴퍼니-한국ST거래, K-콘텐츠 기반 STO 발행 협력나서
아티스트컴퍼니와 한국ST거래가 K-콘텐츠 및 배우 IP를 활용한 토큰증권(STO) 발행과 유통 사업 협력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드라마·영화 등 IP의 STO 상품화, 공동 마케팅, 글로벌 시장 진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계획이다. 이번 협력은 엔터테인먼트, 금융, 기술을 결합한 투자 및 공유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K-컬처의 세계화와 STO 시장 진입의 중요한 계기가 될 전망이다.
은행
NH농협은행, 디지털자산 생태계 조성 앞장···스테이블코인-STO 융합 검증 나선다
NH농협은행이 아톤, 뮤직카우와 함께 스테이블코인과 STO 연계 융합모델 검증을 위한 3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프로젝트로 K-콘텐츠 실물자산 기반 STO와 결제용 스테이블코인을 결합해 해외 K팝 팬 대상 글로벌 결제 시스템을 실증하고, 자산 유동성 및 금융상품화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블록체인
민병덕·안도걸 "디지털경제 영토 확장해야···스테이블코인 제도화 앞장설 것"
민병덕과 안도걸 의원이 스테이블코인 제도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세계 자본시장과 실물경제 연결을 위한 핵심 도구로 블록체인과 K콘텐츠 연계를 제시했으며, 자금세탁방지 등 규제와 관리체계 마련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디지털경제 영토 확장을 위한 정책 논의가 이어졌다.
인터넷·플랫폼
국정위, CJ ENM과 'K-콘텐츠' 미래 논의
국정기획위원회 경제1분과와 CJ ENM은 파주 스튜디오센터에서 인공지능(AI) 기반 콘텐츠 제작 혁신과 글로벌 시장 공략 방안을 논의했다. 위원들은 LED Wall과 4DPLEX 등 첨단 시스템을 직접 체험하고, AI를 활용한 단편영화·애니메이션 제작 사례를 확인했다. 정부는 300조원 콘텐츠 시장 창출 및 문화강국 도약을 지원할 방침이다.
은행
창작자·IP에 주목하는 은행권···K-콘텐츠 붐 타고 새 먹거리 모색
은행권이 K콘텐츠의 글로벌 성공을 기반으로 창작자·IP 금융을 본격화하고 있다. 크리에이터 수익 송금과 지식재산권 담보대출 등 신상품이 속속 등장하지만, 무형자산 평가 및 리스크 관리와 같은 인프라 구축이 아직 부족해 신시장 정착에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인터넷·플랫폼
CJ ENM 윤상현, 창업 정신 강조···"올해 글로벌 원년"
CJ ENM 윤상현 대표는 창업 30주년을 기념하며 글로벌 IP 파워하우스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온리원 정신'을 바탕으로 K-콘텐츠의 질적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시도와 협력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질 계획이다.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혁신을 강조했다.
인터넷·플랫폼
넷플릭스 "SBS 포함, 다양한 방송사와 협업 확대"
넷플릭스는 SBS 외 다양한 방송사와 협력을 통해 K-콘텐츠를 전 세계로 확산하려 한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K-콘텐츠를 시청한 해외 시청자의 한국 방문 의향이 비시청자보다 2배 이상 높았다. 한국의 문화적 가치를 글로벌 OTT를 통해 확산하고자 지속적으로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채널
영플라자 전면 개보수···롯데 VS 신세계, '명동 랜드마크' 전쟁
롯데와 신세계가 서울 명동에서 쇼핑 타운의 주도권을 놓고 경쟁에 돌입한다. 롯데는 영플라자를 폐점하고 글로벌 Z세대를 겨냥한 K-콘텐츠 전문관으로 변신을 예고했고, 신세계는 본점 체질 개선과 대규모 복합단지 조성을 추진 중이다. 두 회사의 명동 타운화 전략은 백화점 업계의 새 판도를 결정할 전망이다.
전기·전자
삼성전자, 미국에 프리미엄 K-콘텐츠 제공···한류 열풍 이어간다
삼성전자가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FAST) 서비스 '삼성 TV 플러스'를 앞세워 글로벌 콘텐츠 시장 공략에 나선다. 4일 삼성전자는 세계 최대 TV시장인 미국에서 CJ ENM, 뉴아이디, KT알파 등 국내 대표 콘텐츠미디어 기업과 손잡고 '삼성 TV 플러스'를 통해 약 4000시간 분량의 K-콘텐츠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삼성 TV 플러스'와 국내 독점 파트너십을 맺은 CJ ENM은 ▲슬기로운 산촌생활 ▲퀸덤퍼즐 ▲스트릿 우먼 파이터2 등 콘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