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코오롱글로벌 부채 388% '경고등'···김영범 대표 등판
코오롱글로벌이 388.3%에 달하는 높은 부채비율로 재무건전성에 적신호가 켜진 가운데, 김영범 신임 대표를 선임하며 경영 정상화와 수익성 개선에 나선다. 김 대표는 30년간 그룹의 핵심 계열사를 이끌며 재무 개선 경험을 쌓았고, 계열사 합병과 신사업 확장으로 부채비율 하락이 기대된다.
[총 252건 검색]
상세검색
건설사
코오롱글로벌 부채 388% '경고등'···김영범 대표 등판
코오롱글로벌이 388.3%에 달하는 높은 부채비율로 재무건전성에 적신호가 켜진 가운데, 김영범 신임 대표를 선임하며 경영 정상화와 수익성 개선에 나선다. 김 대표는 30년간 그룹의 핵심 계열사를 이끌며 재무 개선 경험을 쌓았고, 계열사 합병과 신사업 확장으로 부채비율 하락이 기대된다.
건설사
코오롱글로벌 신임 사장에 김영범 코오롱ENP 대표 내정
코오롱그룹이 정기 임원 인사를 통해 코오롱글로벌 신임 사장에 김영범 코오롱ENP 대표를 내정했다. 김영범 신임 사장은 부동산·환경·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추진하며 그룹 내 핵심 사업의 시너지 확대와 전략적 재편에 주력할 계획이다.
건설사
'350% 고부채' 코오롱글로벌, 생존 걸고 체질 개선 돌입
코오롱글로벌이 높은 부채비율을 해소하기 위해 계열사 코오롱엘에스아이와 엠오디를 연내 흡수합병한다. 두 회사의 안정적 운영사업 실적을 더해 합병 직후 부채비율을 300% 이하로 낮추고, 건설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사업 안정성과 수익성 확보에 집중한다.
한 컷
[한 컷]'SH 출범식' 참석해 미소짓는 윤길호·김정일 대표
(오른쪽)윤길호 계룡건설사업 대표이사와 김정일 코오롱글로벌 대표이사가 11일 오후 서울 강남구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사옥에서 열린 '출범식 및 비전 선포식'에서 대화를 하던 중 미소 짓고 있다. 이날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로 사명을 공식 변경했다. 이번 사명 변경은 서울시민의 주거 복지 향상과 서울의 글로벌 경쟁력을 견인하는 개발 전문 공공기관으로서 역할과 정체성 강화에 대한 목적을 갖는다.
분양
코오롱글로벌 "하늘채 루시에르, 대전 최초 라이프케어 시스템 도입"
코오롱글로벌은 대전광역시 중구 선화동에 시공하는 '대전 하늘채 루시에르'에 돌봄 및 교육 특화 콘텐츠를 대거 도입한다고 8일 밝혔다. 이 단지는 대전광역시 중구 선화동 일원에 지하 5층~지상 최고 49층, 전용면적 84~119㎡, 총 998가구 규모로 조성되는 아파트다. 코오롱글로벌은 째깍섬 및 모그와이, 종로엠스쿨 3개사와 각각 업무협약을 맺고, 대전시 최초로 단지 내 상업시설에 약 200평 규모의 공간을 활용해 '온가족 라이프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
건설사
"운영수익 3배 키운다"···코오롱글로벌, MOD·LSI 합병으로 체질 개선
코오롱글로벌이 계열사 MOD와 LSI를 흡수합병하며 사업구조를 재편한다. 이번 합병으로 기존 건설업 중심 매출에서 벗어나 운영수익이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자산·자본 규모가 커지고 부채비율도 낮아지며, 관광·부동산 등 밸류체인 통합으로 수익성 및 안정성이 강화된다.
건설사
코오롱글로벌 '사업 다각화' 속도···'코오롱LSI·MOD' 흡수합병
코오롱글로벌이 계열사 코오롱엘에스아이와 엠오디를 흡수합병해 사업 구조를 다각화한다. 합병으로 호텔, 리조트, 골프장 등 레저 관련 사업 운영을 강화하고, 이사회 결의와 주주총회 승인 후 10월 1일 합병을 완료할 계획이다. 신주는 10월 22일 상장된다.
건설사
李정부 에너지 대전환 본격화···코오롱글로벌, 해상풍력 수혜 기대 '솔솔'
이재명 정부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21%로 확대하며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 코오롱글로벌은 EPC 역량과 신재생에너지 실적으로 수혜 기대가 크다. 장보고 해상풍력 등 대형 사업 참여와 정책 지원으로 성장동력을 확보 중이다.
건설사
코오롱글로벌, 재무지표 개선으로 중장기 성장 기반 확보
코오롱글로벌이 지난해 흑자 전환과 함께 부채비율을 356.4%로 개선했다. 이는 2022년 11월 코오롱인더스트리에 서초 스포렉스 건물을 매각하며 4301억원 유형자산처분이익을 반영한 결과다. 건설부문의 신규 수주를 확대한 가운데 PF 사업장 두 곳의 분양률도 70%를 넘겨 공사비 회수 전망도 밝아졌다.
건설사
건설업 불황 속 '본PF 전환' 속속···재무부담 완화 뚜렷
최근 건설업계가 공사비 상승 등으로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주요 건설사들은 브릿지론을 본 PF로 전환하는 데 집중하며 재무 안정성 강화에 힘쓰고 있다. 특히 현대건설은 브릿지론 규모를 전년보다 절반 이상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현대건설과 대우건설, HDC현대산업개발, 코오롱글로벌 등 주요 건설사들이 브릿지론 사업장을 본 PF로 대거 전환하면서, 전체 브릿지론 잔액은 전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