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KT 3분기 영업이익 5382억원···전년 比 16%↑
KT가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7조 1267억원, 영업이익 538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1%, 16% 증가했다. 5G 가입자 비중이 80.7%에 달하고, 인터넷·미디어·유선 사업 및 클라우드, 금융 부문이 모두 성장세를 보였다. AI 및 일부 콘텐츠 사업 매출은 소폭 감소했다.
[총 258건 검색]
상세검색
통신
KT 3분기 영업이익 5382억원···전년 比 16%↑
KT가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7조 1267억원, 영업이익 538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1%, 16% 증가했다. 5G 가입자 비중이 80.7%에 달하고, 인터넷·미디어·유선 사업 및 클라우드, 금융 부문이 모두 성장세를 보였다. AI 및 일부 콘텐츠 사업 매출은 소폭 감소했다.
IT일반
중진공, 케이뱅크와 '정책자금 검증' 고도화···"인터넷 은행 첫 협력 사례"
중진공과 케이뱅크가 중소기업 정책자금의 비대면 금융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정책자금 사전검증 시스템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해당 시스템은 대출 사용처를 실시간으로 검증해 투명성과 효율성을 강화한다. 이번 협력은 인터넷 전문은행과의 첫 사례로 중소기업 금융 접근성이 한층 높아질 전망이다.
은행
을지로4가역 이름에 '케이뱅크' 붙는다···오프라인 고객 접점 확대
케이뱅크가 서울교통공사와 계약을 맺고 을지로4가역 역명에 자체 브랜드를 병기한다. 12월부터 '을지로4가(케이뱅크)'로 표기되며, 지하철 안내 및 방송에 노출된다. ATM 설치 등 을지로 중심 오프라인 전략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고객 접점을 확장한다.
은행
업비트 동맹 연장한 케이뱅크··· 외형 성장 속 '생산적 금융' 고심 커진다
케이뱅크가 업비트와 실명계좌 제휴를 연장하며 가상자산 기반 예수금 급증과 자산 7배 성장을 이뤘다. 그러나 여신의 90% 이상이 가계대출에 집중돼 생산적 금융 역할은 약하다는 지적이 크다. 중소기업·혁신산업 지원과 자금 운용 다변화가 시급한 과제로 꼽힌다.
은행
케이뱅크, 업비트와 '디지털자산 동맹' 내년까지 잇는다
케이뱅크가 업비트와의 실명계좌 제휴를 내년 10월까지 연장하며 강력한 디지털자산 협력을 이어간다. 2020년 제휴 이후 양사는 자산규모와 사용자 경험 모두 괄목할 성장을 이루었으며, 법인계좌 확대와 스테이블코인 등 신규 사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은행
케이뱅크, 혁신금융서비스 3건 지정···AI로 고객 편의·업무 효율성 높인다
케이뱅크가 금융위원회로부터 생성형 AI 기반의 혁신금융서비스 3건을 지정받았다. 다국어 번역, AI 상담 Assistant, 내부 업무 자동화 등 서비스를 통해 외국인 고객 편의와 업무 효율성을 높인다. 금융 특화 LLM 도입 등으로 AI 활용을 고도화하며 디지털 금융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은행
"한국과 일본을 자유롭게"···케이뱅크, 글로벌 송금 인프라 혁신 이끈다
케이뱅크가 주도한 '팍스프로젝트' 1단계 기술검증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이번 PoC로 스테이블코인과 블록체인 기반 해외송금은 기존 방식 대비 속도와 비용 면에서 효율성이 입증됐다. 은행 시스템 연동 가능성과 인프라 확장성도 확인됐다.
은행
고성장 뒤 자본압박···카뱅·케뱅 자본관리 고심 커졌다
올 2분기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자본비율이 하락하며 인터넷은행의 건전성 관리에 경고등이 켜졌다. 대출 증가와 위험가중자산 확대, 순이자마진 하락이 주요 원인으로, 자본여력 감소와 대손충당금 부담이 커지고 있다. 자산 성장 속도 조절, RWA 최적화, 자본정책 투명성 강화가 요구된다.
은행
권대영 '이자장사' 쓴소리에···카카오·케이뱅크 대출금리 인하
금융위원회의 예대마진 중심 영업 구조 비판 이후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가 대출금리를 최대 0.33%p 인하했다. 인터넷은행들은 실수요자 부담 완화와 생산적 금융 전환이라는 금융당국의 압박에 선제적으로 대응했으며, 앞으로 예대마진 축소와 수익성 관리가 주요 과제가 될 전망이다.
은행
인뱅 3사 하반기 새 과제···성장 둔화 속 체질개선 시험대
국내 인터넷은행 3사는 상반기 실적 호조에도 하반기 금리 하락, 연체율 상승 등으로 성장 둔화와 건전성 관리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비이자수익 다각화, 해외 진출, IPO 성공, 질적 성장 전략이 관건이며, 외형 확대보다 수익성·리스크 관리가 주요 과제로 떠올랐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