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일반
코람코, 내부통제 선제 강화···리스크 관리 고도화 착수
코람코가 금융당국의 지배구조법 개정에 맞춰 '책무구조도' 구축에 나섰다. 법무법인 지평과 협업해 임원별 책임과 내부통제 체계를 강화하고, 제재 강화에 선제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정승회 대표는 "내부통제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투자자 신뢰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총 202건 검색]
상세검색
증권일반
코람코, 내부통제 선제 강화···리스크 관리 고도화 착수
코람코가 금융당국의 지배구조법 개정에 맞춰 '책무구조도' 구축에 나섰다. 법무법인 지평과 협업해 임원별 책임과 내부통제 체계를 강화하고, 제재 강화에 선제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정승회 대표는 "내부통제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투자자 신뢰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보험
이찬진 "농협생명 리베이트 사실관계 확인 중···위법시 엄중 조치"
농협생명의 20억원 규모 핸드크림 판촉물 수의계약이 임직원 가족 업체와 연관된 정황이 드러나며 리베이트 및 내부 비리 의혹이 확산됐다. 금융감독원은 비리 혐의에 대해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며, 위법사항 적발 시 엄정 조치 방침을 밝혔다. 정치권은 내부감사 미진과 내부통제 취약점을 지적했다.
은행
강태영 NH농협은행장 "잇단 금융사고 송구···내부통제 실효성 높이겠다"
최근 NH농협은행에서 발생한 금융사고 피해 규모가 5년간 802억 원에 달하며, 지난해에만 453억 원의 역대 최대 피해가 나타났다. 강태영 행장은 사고로 인한 고객 및 농업인 자산 손실에 대해 사과하고, 내부통제 강화와 대출 심사 체계 개선 등 재발 방지책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일반
5년간 농협서 545억 금융사고···강호동 회장 "내부통제 수술하겠다"
농협에서 최근 5년간 545억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발생하며 내부 감사시스템 붕괴가 드러났다. 국회는 국정감사에서 행정사고 255건과 사고금액, 부실한 내부통제 문제를 집중 지적했다. 피해금 중 229억원은 미회수 상태로 농민과 조합원 피해가 우려된다.
은행
금감원, 우리은행에 '명령휴가 대상자 선정기준 미흡' 개선요구
금융감독원은 우리은행에 대해 장기근무자 순환배치와 명령휴가 등 인사관리 미흡을 지적하며 개선을 요구했다. 명령휴가 대상 기준 및 예외 선정 절차 구체화, 내부통제 강화 등 5건의 행정지도 성격 조치가 통보됐다. 이는 금융사고 사전 예방을 위한 조치이다.
은행
NH농협은행, 은행권 최초 '내부통제전문가' 인증 제도 도입
NH농협은행이 은행권 최초로 내부통제전문가 인증제도를 도입해 8주간 자율학습과 온라인 평가를 거쳐 3급 자격을 부여했다. 총 3521명의 내부통제 전문가가 배출됐으며, 실무 중심 교육을 통해 금융사고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체계를 마련했다. 2026년 2급, 2027년 1급까지 인증제도 확대를 계획 중이다.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8년간 누적 금융사고액 715억원···고객 돈 횡령 417억원
최근 8년간 새마을금고에서 발생한 누적 금융사고액이 715억원을 기록했으며, 이 중 417억원이 고객 예금 등 직접 자금 횡령으로 드러났다. 정부는 관리감독 강화를 위한 전방위 조사를 실시 중이나, 내부통제 미흡 문제가 지속 지적되고 있다.
금융일반
[금융지주 회장 연임 기상도]신한금융 진옥동, 연임을 위한 과제···KB 격차·내부통제 변수
신한금융지주가 회장 승계 절차에 돌입하며 진옥동 회장의 연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진 회장은 취임 후 최대 실적, 주주환원, 글로벌 성장 등 성과를 냈으나 KB금융과의 격차, 비은행 부문 경쟁력, 내부통제 한계 등 과제가 남아 있다.
금융일반
가계부채·해킹사고·내부통제···李정부 첫 국감 앞둔 금융권 '긴장감↑'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국정감사에서 금융권은 해킹사고, 가계부채 증가, 내부통제 부실 등 심각한 현안들을 두고 정치권의 집중 공세에 직면했다.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 은행권 횡령, 대출규제 등 주요 이슈와 함께,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와 보험사 과도이익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은행
KB국민은행 인니 현지 법인서 약 32억원 금융사고 발생
KB국민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인 KB뱅크에서 약 32억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 6월 25일 비정상적인 자금정산 계좌 거래로 31억8천만원 상당이 빠져나갔으며, 신속한 계좌 지급 정지 조치로 30억5천만원을 확보했다. 사고 원인으로 전산망 오류 등 다양한 가능성이 조사 중이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