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산업에 '세액공제' 도입을 원하는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다. 최근 정부가 게임이 K-문화 산업의 중추라고 언급한 것에 비해 실질적인 지원은 부족하다는 이유다. 출시 이전까지 흥행이 보증되지 않는 게임 업계의 특수성을 이제는 고려해 줄 필요가 있다.
지난 7월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5년 세제개편안에는 웹툰 제작비 세액공제가 신설됐다. 영상 콘텐츠에 대한 세액공제도 오는 2028년까지 연장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그러나 게임과 음악 분야에 대한 세액공제는 제외됐다. 여기서 세액공제는 산출된 세액에서 정책적으로 일정액을 공제하고 납부할 세금을 정하는 세법 규정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연구에 따르면 게임산업에 세액공제가 도입될 경우 약 1조4500억원의 부가가치와 1만5000명 이상의 고용 창출 효과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게임업계가 세액공제를 절실히 바라는 이유이기도 하다.
게임업계는 특히나 세액공제 혜택을 톡톡히 볼 수 있는 산업 중 하나다. 하나의 신작을 개발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과 시간이 막대하기 때문이다. 선투자 형태로 이뤄지는 게임 제작인데, 흥행은 보증할 수 없는 구조라 부담이 큰 편이다.
국내에서 지원하고 믿어준다면, 이는 국내 게임들의 해외 진출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세액공제 등 정부의 다양한 지원을 받게 된다면 게임업계는 게임 개발 및 인프라에 더 많고 질 높은 투자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게임의 퀄리티와 다채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국내를 넘어 해외에서도 소위 말하는 '잘 먹히는' 게임으로 거듭날 수 있는 기회가 생기는 셈이다.
최근 이재명 대통령은 K-게임 현장을 찾아 게임 산업은 문화 산업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언급하고, 산업 진흥에 적극적으로 힘쓰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진정으로 게임 산업을 국내 문화 산업의 중추로 생각한다면, 세액공제를 포함해 업계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지원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K-컬처 300조 시대'를 열겠다는 목표를 달성하려면, 어느 한 콘텐츠나 문화에만 치우치지 않고 고른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 게임은 해롭다는 말도 이제는 옛말이 됐다. 온전한 문화와 산업으로 자리 잡은 만큼 다시금 돌아보고 그에 맞는 지원이 필요하다.
단순히 말로만 중요하다고 강조하면 안 된다. 새로운 지원책은 게임업계가 성장할 수 있는 양분이 되고, 이를 지원 받은 게임사는 좋은 게임으로 보답해 '문화 강국' 이미지를 고착화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게 될 것이다.
                                                            뉴스웨이 김세현 기자
xxia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