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AI 시장 연평균 20.5%↑···2034년 53조원 규모글로벌 게임사 AI 도입 활발, EA는 '전사적 AI' 도입국내에선 엔씨가 활발···"게임 본질적 경험 바뀔 것"
게임AI 폭발적 성장...글로벌 게임사 도입 박차
6일 프리시던스 리서치(Precedence Research)의 리포트에 따르면, 글로벌 게임 AI 시장은 2024년 58억5000만 달러(8조2060억원)에서 올해 70억5000만 달러(9조8900억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이후 연평균 20.54%씩 성장해 2034년에는 378억9000만 달러(53조1400억원)까지 팽창할 것으로 예상된다.
게임 산업에서 AI 기술의 활용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시장 구조 자체가 변화하고 있다. AI 콘텐츠 관련 해외 매체 토털리 휴먼 미디어(Totally Human Media)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현재 스팀 플랫폼 내 약 11만4000개 게임 중 7%인 7818개가 생성형 AI를 활용하고 있다. 신규 출시 게임만 놓고 보면 20%나 AI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4월 대비 8배 증가한 수치로, AI가 게임 개발의 핵심 요소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개발 작업의 절반 이상이 AI에 의존하게 될 것으로 예측되며, 이는 게임 제작 과정에서 '살아있는 게임' 구현이 현실화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유니티의 CEO 매튜 브롬버그는 "게임 개발자의 96%가 AI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게임 개발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세계 주요 게임사들도 AI 기술 도입에 적극 나서며 경쟁력 확보에 나서고 있다. 유비소프트는 자체 개발한 AI 도구 '고스트라이터'(Ghostwriter)를 통해 NPC 대화 생성을 자동화하고 있다. 이 도구는 스크립터가 캐릭터와 상황을 설정하면 자동으로 대화 초안을 생성하고, 작가가 선택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어쌔신 크리드와 파 크라이 등 대작 게임 개발에 활용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다 .
일렉트로닉 아츠(EA)는 생성형 AI를 '10억 달러 기회'라고 규정하며 전사적 AI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EA의 '스크립트 투 씬'(Script to Scene) 기술은 텍스트나 음성 입력만으로 캐릭터, 공연, 세계관을 구축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4층 파리 아파트 건물'이라고 입력하면 즉시 3D 모델이 생성되며, 추가 요청을 통해 층수나 세부사항을 조정할 수 있다. EA는 개발 프로세스의 60%가 생성형 AI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
우리 게임회사 중에서는 NC소프트가 뛰어난 기술력으로 주목받는다. NC AI의 '바르코 3D'는 텍스트나 이미지 프롬프트만으로 3D 모델을 자동 생성하는 혁신 기술이다. 메시와 텍스처 동시 생성, 리깅과 애니메이션 연동까지 지원하며 기존 4주 이상 걸리던 제작 과정을 10분 내로 단축한다. '바르코 싱크페이스'는 음성만으로 캐릭터의 립싱크와 표정, 감정을 실시간 생성하며 한국어, 영어, 일본어 등 다국어를 지원한다. '바르코 사운드'는 텍스트나 이미지 기반으로 효과음과 배경음악을 자동 생성하는 멀티모달 오디오 AI 기술이다.
AI가 만들어가는 게임의 미래
게임 산업에서 AI 기술의 진화는 단순한 개발 도구를 넘어 게임의 본질적 경험을 변화시키고 있다. 실시간 AI 비디오 기술인 MirageLSD는 40ms 이내의 실시간 반응성을 자랑하며 게임 내 스트리밍과 사용자 반응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런 기술들은 플레이어 개개인에게 맞춤화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무한한 재플레이 가치를 제공하는 '살아있는 게임' 구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AI 기술의 게임 산업 적용은 개발 효율성 향상을 넘어 창작자와 플레이어 간의 새로운 관계를 정의하고 있다. 미히르 바이디야 EA 전략 책임자는 "플레이어들이 코딩 전문 지식 없이도 상상력을 창작물로 변환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이는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의 새로운 차원을 열어가고 있다.
게임 산업의 AI 혁신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글로벌 주요 게임사들이 AI 기술을 통해 게임 개발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는 플레이어들에게 더욱 풍부하고 몰입감 있는 게임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5~10년 내에 AI가 게임 산업 전반을 재편하면서, 창작자와 플레이어 모두에게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어갈 전망이다.

뉴스웨이 임재덕 기자
Limjd87@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