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조달 여건 악화 반영한 결과6월 말 위험선호비율 24.5% 기록경쟁사 대비 불리한 자금조달 조건
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무디스는 한국투자증권의 장기 외화표시 기업신용등급과 선순위 무담보 중기채 프로그램 등급을 기존 'Baa2'에서 'Baa3'로 낮추고 단기 신용등급도 '프라임-2'에서 '프라임-3'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한국투자증권이 고위험 고수익 전략을 추구, 이로 인해 자금 조달 여건이 약화된 점을 반영한 것이다. 독자신용도 역시 'Ba1'에서 'Ba2'로 내렸지만 정부의 높은 지원 가능성을 고려해 등급 상향 여지는 유지했다.
6월 말 기준 한국투자증권의 위험선호비율은 24.5%로 경쟁사 평균 20%를 넘어 금융당국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투자를 제한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투자증권의 높은 위험선호 성향은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 분석했다.
특히 발행어음 잔액은 자기자본의 174%에 달하는 18조원 수준으로 국내 증권사 평균을 크게 웃돌며 만기가 1년 미만인 발행어음을 통해 조달된 자금이 장기 기업금융이나 모험자본에 투입되어 자산-부채 만기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무디스는 향후 12~18개월간 한국투자증권의 자금조달비율이 소폭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향후 위험선호비율이 20% 수준으로 낮아지거나 유동성 및 자금조달 구조가 개선되면 신용등급이 다시 상향 조정될 가능성도 열어뒀다.
무디스는 "한국투자증권이 안정적인 자금조달 및 유동성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위험선호비율이 40% 이상으로 높고 레버리지 비율이 15배 이상으로 상승하는 등 리스크가 확대되면 하향 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김호겸 기자
hkkim823@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