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서울 25℃

인천 25℃

백령 22℃

춘천 26℃

강릉 21℃

청주 26℃

수원 25℃

안동 25℃

울릉도 23℃

독도 23℃

대전 26℃

전주 29℃

광주 29℃

목포 28℃

여수 26℃

대구 26℃

울산 25℃

창원 27℃

부산 25℃

제주 26℃

금융 국민의힘 정무위 "롯데카드 국감 최우선 대상···최대주주 MBK 단독 청문회 추진"

금융 카드

국민의힘 정무위 "롯데카드 국감 최우선 대상···최대주주 MBK 단독 청문회 추진"

등록 2025.09.23 14:16

김명재

  기자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롯데카드 해킹으로 300만 명 개인정보 유출

국민의힘, 국정감사 최우선 현안으로 지정

MBK파트너스 단독 청문회 추진

현재 상황은

23일 국회에서 피해자 보호 및 재발 방지 간담회 개최

롯데카드 대표, MBK파트너스 부회장 등 참석

금융당국 및 개인정보보호기관 관계자 동석

숫자 읽기

297만 명 개인정보 유출

28만 명 카드번호 및 CVC까지 노출

현재까지 카드 부정사용 사례 없음

핵심 코멘트

국민의힘 "국정감사에서 MBK 책임 추궁, 미흡시 단독 청문회"

의원들 "정서적 피해·사전 방지책 부족" 비판

롯데카드 "2차 피해까지 보상 의지" 재확인

맥락 읽기

MBK파트너스, 매각 준비 속 정보보호 투자 약속 신뢰성 논란

경영 책임 및 비용 절감 우선시 여부 쟁점

피해 구제와 사회적 책임 요구 목소리 커짐

국힘 간담회에 조좌진 대표·임종하 부회장 출석개보위·공정위 국감 일정 10월 첫째 주로 앞당겨"매각 앞두고 정보 보호 예산 증액, 신뢰 어려워"

'국민의힘 정무위원회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사태 피해자 보호 방안 및 재발방지 대책 간담회'가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 열리고 있다.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국민의힘 정무위원회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사태 피해자 보호 방안 및 재발방지 대책 간담회'가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 열리고 있다.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이 300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롯데카드 해킹 사태와 관련해 다음달 계획된 국정감사 최우선 현안을 다루기로 했다. 또 롯데카드 최대주주인 사모펀드 MBK파트너스는 이번 사태에 대한 단독 청문회 개최를 추진하기로 했다.

국민의힘은 23일 오전 서울 국회의사당에서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 사태 관련 피해자 보호 방안 및 재발 방지 대책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이 정무위 일정과 별개로 자체 편성한 일정으로 롯데카드의 구체적인 해킹 피해 정황과 향후 보안 대책 등을 확인하려는 차원에서 마련됐다.

국민의힘은 이날 간담회에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와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의 참여를 요청했다. 이에 조 대표는 2020년 취임 이후 처음으로 국회를 찾았다. 다만 MBK파트너스의 경우 김 회장 대신 윤종하 부회장이 자리했다. 이 밖에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금융보안원,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보안 관계자들도 간담회에 출석했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은 간담회 시작에 앞서 모두발언에서 이번 사태를 내달 실시될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최우선 순위로 두겠다고 밝혔다. 강 의원은 "통상 10월 마지막 주에 시행되던 공정위와 개보위 국정감사 일정을 첫째 주로 앞당겨 동시에 실시할 생각"이라며 "감사 기간이 끝날 때까지 지켜보려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을 국감 증인으로 채택할 것"이라며 "만일 국정감사에서 대응이 미흡하다면 오는 11월 MBK파트너스를 대상으로 단독 청문회도 개최할 생각을 가지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간담회는 관련 기관들이 각자 대응 현황과 향후 대응 계획을 보고하는 순서로 진행됐다. 조 대표도 지난 18일 진행된 기자회견 때와 마찬가지로 구체적인 피해 상황을 의원들에게 전달하는 한편, 현재까지 부정거래가 발생한 사실이 없으며 사태 재발 방지와 피해 보상에 신경쓰겠다는 회사 입장을 재차 피력했다.

다만 보고가 끝나자마자 의원들의 날선 비판이 이어졌다. 유영하 국민의힘 의원은 조 대표에 "금전적인 피해가 발생할 여지가 없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고객 입장에서는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정서적 피해도 있을 것이 아니냐"며 "부정거래가 발생하지 않았으니 괜찮다는 식으로 이야기하는 것은 책임감 부족으로 인식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역시 사고가 터지면 엄벌하겠다는 말만 반복하고 있다"며 "피해가 발생하기 전에 사전에 방지할 생각을 해야지 처벌만 강화해서는 어떡하냐"고 덧붙였다.

이에 조 대표는 "가입자를 비롯한 국민들이 필요 이상으로 불안해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에서 금전적인 피해가 없다는 부분을 전달하고 싶었다"며 "정보 유출로 발생할 수 있는 2차 피해까지 보상하겠다고 말한 것도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MBK파트너스에 대한 지적도 잇따랐다. 경영권을 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각에 급급해 해킹 사태에 대한 책임 소지를 전적으로 롯데카드에만 전가한다는 비판이 있다.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은 "롯데카드 매각을 준비하고 있는데 향후 5년간 1100억원의 정보보호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며 "국민들도 이를 믿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 의원도 "MBK파트너스는 이번 사고와 관련해 사회적 책임을 통감하면서 피해 구제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또 원하는 가격에 회사를 매각하기 위해 경영 측면에서 비용 절감을 극대화하지는 않았는지도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롯데카드는 지난 18일 해킹 피해로 297만 명 고객의 주민등록번호, 연계정보(CI) 등이 유출됐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28만 명은 카드번호와 CVC 번호까지 유출돼 카드 부정 사용 발생 가능성이 있다. 다만 현재까지 부정사용이 발견된 사례는 단 한 건도 없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