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서울 21℃

인천 22℃

백령 24℃

춘천 25℃

강릉 30℃

청주 30℃

수원 22℃

안동 31℃

울릉도 27℃

독도 27℃

대전 30℃

전주 32℃

광주 32℃

목포 31℃

여수 31℃

대구 33℃

울산 32℃

창원 32℃

부산 32℃

제주 30℃

증권 삼성전자·SK하이닉스 고공행진에···코스피 지수, 연일 고점 경신

증권 종목

삼성전자·SK하이닉스 고공행진에···코스피 지수, 연일 고점 경신

등록 2025.09.16 13:29

임주희

  기자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가 강세

코스피 지수 연일 최고치 경신

반도체 대형주가 시장 상승 견인

숫자 읽기

코스피 3451.64 기록, 1.3% 상승

외국인 9268억원, 기관 2122억원 순매수

개인 1조1423억원 순매도

자세히 읽기

삼성전자 2.48% 상승, 7거래일 연속 신고가

SK하이닉스 5.66% 상승, 장중 35만4000원 돌파

외국인 투자자 대형 반도체주 집중 매수

맥락 읽기

외국인·기관 수급 쏠림 지속

대만 폭염·전력망 이슈로 반도체 공급망 우려 부각

한국 반도체주 강세에 코스피 추가 상승 기대

향후 전망

관세 협상, 3분기 실적 발표가 추가 상승 동력

과거 신고가 경신 후 상승랠리 재현 가능성

주도주 중심의 시장 흐름 지속 예상

외국인·기관 순매수에 힘입은 상승 랠리반도체 대장주 집중 매수세 지속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코스피 큰형님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가가 강세를 보이자 코스피 지수가 연일 고점을 경신하고 있다.

16일 오후 1시2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3%(44.33포인트) 오른 3451.64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전 거래일 대비 0.41%(13.82포인트) 오른 3421.13으로 출발한 코스피는 5거래일 연속 역대 최고점을 갈아치웠다. 이어 오후 12시47분께 3450.59로 3450선을 넘어섰다. 이내 3449로 내려왔던 지수는 다시 반등, 장중 한때 3451.83까지 오르기도 했다.

코스피 지수 상승은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가 이끌고 있다. 같은 시각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는 9268억원, 기관투자자는 2122억원어치를 순매수하고 있으며 개인은 홀로 1조1423억원어치를 순매도 중이다.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들은 코스피 시가총액 1위와 2위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몰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2.48% 오른 7만8400원에 거래 중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은 골드만삭스와 메릴린치, JP모간서울 등을 통해 순매수 중이다. SK하이닉스의 경우 전 거래일 대비 5.66% 오른 34만9750원에 거래 중이다.

삼성전자의 경우 지난 8일부터 7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매일 52주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SK하이닉스도 마찬가지다. 지난 2일부터 주가가 상승한 SK하이닉스는 지난 15일 전 거래일 대비 0.15% 내린 32만8000원에 거래를 마감했으나 이날 주가가 5% 이상 상승하며 장중 한때 주가가 35만4000원까지 올랐다.

증권가에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의 주도로 지수가 추가 상승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7거래일 연속 코스피 현물 순매수 중인 외국인의 반도체 대형주 위주 수급 쏠림이 지속되고 있다"며 "추가 상승동력은 관세 협상 진전과 다음달부터 발표될 3분기 기업실적에 있을 전망으로, 과거 신고가 경신 후 상승랠리가 지속되는 모습에서 주도주가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금일 외국인 매수 대부분이 반도체 종목들인데 대만 이슈도 한 몫을 했다"고 설명했다. 대만 지역 기온이 40도 가까이 높아지면서 전력 수요가 증가, 화력 발전소 화재 등이 발생하면서 TSMC 등 주요 반도체 기업들의 전력망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부각됐기 때문이다. 서 연구원은 "결국 공급망 문제, 대만 이슈 등이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강세를 견인하면서 지수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