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가이드라인 도입···9일 행정지도심의위 의결
10일 금감원은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PG사 정산자금 외부관리 가이드라인'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가이드라인은 향후 시스템 구축 등 준비기간을 거쳐 내년 1월 1일부터 전면 시행될 예정이다.
금감원은 전자상거래가 크게 증가하면서 카드사 등과 가맹점 간의 정산을 대행하는 전자지급결제대행(PG)업권 규모도 함께 늘었다고 밝혔다.
다만 지난해 7월 티몬·위메프 사태로 약 1조3000억원 규모의 피해가 발생하자 PG사 정산자금의 안전한 보관·관리 필요성이 부각됐다는 설명이다. 정산자금이란 PG사가 전자지급결제대행 과정에서 판매자에게 지급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금액을 말한다.
금감원은 현재 PG사 정산자금의 외부관리 등 PG업 관리·감독 강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이 국회를 계류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법 개정 시행 전에도 판매자 보호 공백이 없도록 관련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가이드라인은 오는 9일 행동지도심의위원회를 거쳐 정식 제정된다.
가이드라인의 핵심 내용은 PG사가 정산자금의 60% 이상을 신탁, 지급보증보험 등을 통해 외부에서 관리하고, 국채 등 안전자산으로 운용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정산자금은 매 영업일별 잔액 기준으로 산정한다.
PG사가 파산, 회생개시 등 지급사유가 발생할 경우 정산자금 관리기관이 판매자에게 정산자금을 대신 지급한다. PG사는 판매자가 지급 사유 발생시 정산자금관리기관에 직접 지급을 청구할 수 있도록 PG 계약 체결시 외부관리 방식, 정산자금관리기관 정보 및 지급 사유·절차 등을 판매자에게 고지하고 홈페이지에도 별도로 안내해야 한다.
금감원은 가이드라인을 통해 전자금융 이용자 보호가 강화되는 등 전자지급결제의 안정성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가이드라인이 업계에 안착하도록 PG사 등의 외부관리 준비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하는 한편, 제도 시행 관련 애로·건의 사항을 수렴·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명재 기자
emzy0506@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