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 분석·트랜스포머 투자모델·UBS 사례 발표
김세완 자본시장연구원 원장은 10일 서울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AI와 금융투자업의 혁신' 컨퍼런스에서 이같이 말하며 "데이터 접근성 확대, 고성능 컴퓨터 자원 확보, AI 거버넌스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여전히 많다"고 지적했다.
이번 행사는 AI가 투자전략·리스크관리·고객서비스 등 금융투자업 전 분야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고 새로운 기회와 위험 관리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김세완 자본시장연구원 원장의 인사말로 시작해 이윤수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과 서유석 금융투자협회 회장의 축사가 이어졌다.
김세완 원장은 "광대한 증권시장 뉴스를 AI로 분석해 투자 심리 동향을 실시간 포착하는 '자본시장 심리지수'를 개발하고 있다"며 "빅데이터에 기반한 실증 연구를 통해 금융투자업의 디지털 전환 방향을 제시하고 연구원의 금융 AI 역량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윤수 상임위원은 "최근 AI의 산업 접목 속도가 빨라지면서 금융투자업에도 패러다임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에이전틱 AI가 도입됐을 때 업계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지 예측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그동안 금융위원회도 금융권 AI 플랫폼 구축, 금융 분야 특화 데이터 지원, 가이드라인 마련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왔다"며 "다만 데이터 윤리, 알고리즘의 투명성, 소비자 보호를 철저히 준수해야 올바른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고 짚었다.
서유석 회장은 "정부가 민간 자원과 연계한 100조 원 이상의 국민성장 펀드를 조성함으로써 AI 반도체 등 첨단 산업 기업에 투자하겠다는 내용을 발표했는데, 금융투자 업계에 새로운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민간 차원에서도 AI 혁신 기업에 대한 모험자본 공급 등 생산적 금융 확대를 통해 AI 대전환 시대의 도전을 기회로 바꿔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주제발표는 ▲김진영·노성호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의 '특허 분석을 통하여 살펴본 금융투자 분야의 AI 활용과 시사점' ▲권민경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의 '투자의 미래: 트랜스포머를 중심으로' ▲로착 아그라왈(Rochak Agrawal) UBS 전무의 '금융기관을 위한 에이전틱 AI: 자동화를 넘어서' 순으로 이어졌다. 이어 안동현 서울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김홍곤 KB자산운용 AI Quant&Direct Indexing 운용본부장, 로착 아그라왈(Rochak Agrawal) UBS 전무 등 업계·학계 패널들을 소개한 뒤 각각 발언을 진행했다.

뉴스웨이 문혜진 기자
hjmoo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