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 서울 24℃

  • 인천 23℃

  • 백령 24℃

  • 춘천 21℃

  • 강릉 21℃

  • 청주 22℃

  • 수원 22℃

  • 안동 21℃

  • 울릉도 24℃

  • 독도 24℃

  • 대전 23℃

  • 전주 23℃

  • 광주 22℃

  • 목포 24℃

  • 여수 25℃

  • 대구 24℃

  • 울산 24℃

  • 창원 25℃

  • 부산 24℃

  • 제주 25℃

산업 김남근 의원 "MBK 홈플러스 사태...국민연금 수천억 손실"

산업 산업일반

김남근 의원 "MBK 홈플러스 사태...국민연금 수천억 손실"

등록 2025.08.07 16:12

신지훈

  기자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김남근 의원, MBK파트너스와 국민연금의 홈플러스 투자 문제 공개 비판

국민연금, MBK의 펀드와 홈플러스에 대규모 투자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로 국민연금 수천억 손실 우려

배경은

MBK, 2015년 홈플러스 인수 후 올해 3월 기업회생절차 신청

국민연금, MBK 펀드에 6100억 투자했으나 약 3000억 회수 난항

과거 고려아연 적대적 M&A 시도 때도 국민연금 투자 논란

어떤 의미

국민연금, 사회적 책임 투자자로서 역할 부족 비판

사모펀드의 무분별한 기업 인수에 국민연금 자금 투입 문제 제기

공적기금의 투자 원칙과 책임 강화 필요성 부각

핵심 코멘트

김 의원 "국민연금이 투자하지 않았다면 MBK 국내 사업 불가능"

"사회적으로 비난받는 사모펀드에 대한 투자 원칙 명확히 해야"

"홈플러스 지분 포기 후 손실 점검과 책임 추궁 필요"

주목해야 할 것

국회, 국민연금의 스튜어드십 코드 이행 여부 점검 예고

MBK 투자 손실 규모와 회수 가능성 불확실

공적기금의 사모펀드 투자 기준 변화 주목

3000억 미회수·연금 손실 전망사모펀드 투자 원칙 부재 지적공적기금 책임 행위 점검 목소리

(오른쪽 첫 번째)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8일 오전 서울 노원구 홈플러스 중계점에서 열린 홈플러스 입점협의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오른쪽 첫 번째)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8일 오전 서울 노원구 홈플러스 중계점에서 열린 홈플러스 입점협의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정무위원회 소속)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홈플러스 사태를 일으킨 MBK파트너스와 MBK파트너스에 투자한 국민연금을 강하게 비판했다.

국민연금은 MBK가 조성한 펀드에 주요 출자자일 뿐 아니라, MBK가 2015년 인수했다가 올해 3월 '기습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홈플러스에도 투자했다. 이로 인해 수천억원의 손실을 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김 의원은 지난 6일 자신의 SNS에 올린 '국민연금, 홈플러스 사태에 역할을 다 해야 합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MBK파트너스는 10여개 회사들을 부실하게 만든 전력이 있다"고 지적하며 "그럼에도 국민연금은 MBK의 행위를 조사하거나 책임을 묻지 않았고, 다른 기관 투자자들과 연합해 투자를 제한하는 등 사회적 책임 투자자로서 역할도 제대로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의원은 "국민연금이 투자하지 않겠다는 원칙만 세웠어도 MBK가 국내에서 사모펀드를 만들어 사업을 벌이는 건 불가능했을 것"이라며 "사회적으로 비난받는 행동을 대규모로 해온 사모펀드에 대해서는 '투자하지 않겠다'는 원칙이 명확히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사실상 국민연금이 홈플러스 사태 등 많은 기업을 부실하게 만든 MBK파트너스에 투자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피력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지난해 9월 MBK가 국가기간산업인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 M&A를 시도할 때도 국민연금이 MBK의 투자자로 참여하기로 했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벌어진 바 있다.

국민의 노후자산을 책임지는 국민연금이 국가와 지역사회의 지지와 지원으로 성장한 기업을 사모펀드가 빼앗는 데 자금을 지원하는 게 적절하냐는 비판이었다.

이후 국민연금은 적대적 M&A에는 참여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MBK와 투자계약을 맺었으나, 홈플러스와 고려아연 사태뿐 아니라 과거 많은 기업의 부실화가 사회적 논란으로 확산되면서 국민연금 등 공적기금이 MBK에 아예 투자를 하지 않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다.

김 의원은 "최근 MBK는 홈플러스 지분을 포기하겠다고 밝혔지만 그 결과 가장 큰 손실을 보는 곳은 결국 국민연금"이라며 "국민연금이 얼마나 손실을 보는지, 이 포기가 홈플러스 사태 해결에 얼마나 유의미한지 철저히 점검돼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연금은 2015년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할 때 6100억여원을 투자했다. 이 가운데 약 3000억원은 현재 회수하지 못한 상태다. MBK의 기습 기업회생절차 신청으로 이 돈을 회수할 수 있을지 현재로서는 미지수다.

아울러 김 의원은 "국민의 노후자산을 책임지는 국민연금이 보다 책임 있는 투자자로 거듭날 수 있도록 국회 차원에서도 스튜어드십 코드 이행 여부를 철저히 점검하고 필요한 책임을 반드시 묻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