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AI·데이터 활용 소상공인 신용평가 개선을 위한 현장간담회 개최소상공인 전용 신용평가시스템 구축···토큰증권 활용한 자금조달 검토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24일 오전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뱅크 판교오피스에서 개최한 AI·데이터 활용 소상공인 신용평가 개선을 위한 현장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금융위 제공
금융위원회는 24일 권 부위원장 주재로 'AI·데이터 활용 소상공인 신용평가 개선을 위한 현장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4일 열린 충청권 타운홀 미팅 이후 대통령 지시에 따라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기 위해 개최한 세 번째 간담회다.
권 부위원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들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정확한 신용평가가 선행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특히 대표자 개인의 신용이나 담보·보증·재정 등을 토대로 이뤄지는 전통적인 자금공급 방식에는 한계가 있어 AI·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총동원해 새로운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를 위해 금융위는 '마이 비즈니스 데이터(My Business Data, 개인사업자 마이데이터)'와 '소상공인 전용 신용평가시스템(SCB)' 구축에 나선다.
'마이 비즈니스 데이터'는 개인사업자가 여러 곳에 흩어져 있는 본인의 사업자로서의 금융정보, 상거래정보, 공공정보 등을 통합조회·관리하고 이를 신용평가에 반영하는 서비스다. 단순한 신용정보관리 차원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소상공인의 창업-영업-폐업후 재기지원까지 전단계에 걸쳐 원스톱 금융비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창업 단계에서는 상권분석, 창업 컨설팅 등을 통해 성공적 창업을 지원하고, 영업 단계에서 정책자금 추천, 매출분석, 금리 등 상품 비교추천 등을 수행하며 상황이 어려워질 경우에는 원활한 폐업과 재기지원도 도울 수 있다.
금융위는 관련 전문가, 관계기관 등과 실무작업반을 구성하여 의견을 수렴한 후 올해 하반기 중 '마이 비즈니스 데이터 도입방안'을 확정하고, 내년 중에 신용정보법 등 관련 법령 개정 등을 거쳐 신속하게 도입을 추진할 방침이다.
소상공인·자영업자 통합정보센터(SDB) 구축방안은 신용정보원이 발표했다. 신용정보원은 SDB에 집중된 정보를 토대로 소상공인 표준신용평가모형(SCB)을 개발해 개인사업자CB 등에 제공하고, 여신기관은 개인사업자CB가 산출한 SCB등급을 소상공인·자영업자 대출에 적극 활용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소상공인 특화 신용평가시스템 구축방안'의 세부내용은 관계기관 및 관련 전문가 논의를 거쳐 올해 하반기 중 공개할 계획이다.
소상공인이 사업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인 토큰증권(STO) 관련 논의도 이뤄졌다. 토큰증권을 활용하면 소상공인이 본인의 사업을 일반투자자들에게 알리고 그 사업수익을 배분하는 조건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 손쉬워질 수 있다.
권 부위원장은 "지난 2020년 데이터 3법(신정법·개보법·정통망법) 개정 이후 지금까지는 데이터의 안전한 활용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면서 "지금부터는 데이터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데이터의 활용을 통해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다음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늘 논의한 개인사업자 마이데이터, 소상공인 특화 신용평가시스템, 토큰증권 등이 그 새로운 단계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금융분야 AI·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의 활용이 소상공인에게는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질적인 기회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도록 관련 정책을 신속하게, 그리고 꼼꼼하게 만들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뉴스웨이 이지숙 기자
jisuk618@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