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21일 목요일

서울 31℃

인천 31℃

백령 28℃

춘천 31℃

강릉 30℃

청주 32℃

수원 31℃

안동 34℃

울릉도 28℃

독도 28℃

대전 34℃

전주 32℃

광주 32℃

목포 31℃

여수 31℃

대구 34℃

울산 30℃

창원 32℃

부산 31℃

제주 27℃

라이프 월 소득 300 미만은 '게임' 많이 해···800이상은 '○○○' 즐겨

라이프 기획연재 친절한 랭킹씨

월 소득 300 미만은 '게임' 많이 해···800이상은 '○○○' 즐겨

등록 2025.01.16 15:58

김재령

  기자

공유

월 소득 300 미만은 '게임' 많이 해···800이상은 '○○○' 즐겨 기사의 사진

출근길에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하고, 저녁에는 드라마를 보고, 휴일에는 뮤지컬을 관람하는 등,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즐기는데요.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는 작년 12월에 전국 만 20세~만 64세 성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문화 콘텐츠 소비 현황'을 조사했습니다.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문화 콘텐츠에 얼마나 돈을 썼을까요? 또한 소비자의 가구 소득에 따라서 즐기는 문화 콘텐츠 종류에도 차이가 있었을까요?

월 소득 300 미만은 '게임' 많이 해···800이상은 '○○○' 즐겨 기사의 사진

2024년 소비자들이 문화 콘텐츠를 위해 쓴 월간 평균 지출액은 3만70원이었습니다.

그렇다면 한 달 평균 지출액이 가장 많았던 문화 콘텐츠는 무엇이었을까요? 1위는 OTT 동영상(넷플릭스, 티빙, 웨이브 등)이었습니다. 한 달에 평균 1만1360원을 소비했다고 합니다. 2위는 월간 평균 지출액이 3906원이었던 게임, 3위는 3362원이었던 TV 시청(지상파, 케이블, 위성, IPTV 등)이었습니다.

월 소득 300 미만은 '게임' 많이 해···800이상은 '○○○' 즐겨 기사의 사진

소비자의 가구 소득에 따라서 즐기는 문화 콘텐츠에도 차이가 있었는데요. 소득별 차이가 크게 돋보였던 것은 게임과 뮤지컬, TV 시청이었습니다.

게임은 월 가구 소득 300만원 미만인 사람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즐겼습니다. 지출 경험자들은 월간 평균 1614원을 썼죠. 가장 적은 시간을 즐긴 월 가구 소득 구간은 800만원 이상이었습니다. 지출 경험자들은 월간 평균 5만1965원을 썼습니다.

뮤지컬은 월 가구 소득 800만원 이상에서 가장 많은 횟수를 관람했습니다. 지출 경험자들은 회당 평균 11만4717원을 썼는데요. 가장 적은 횟수를 관람한 월 가구 소득 구간은 300~399만원이었습니다. 지출 경험자들은 회당 평균 12만6412원을 썼죠.

TV 시청 콘텐츠 역시 월 가구 소득 800만원 이상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즐겼습니다. 지출 경험자들은 월간 평균 1만4453원을 썼습니다. 가장 적은 시간을 즐긴 월 가구 소득 구간은 300만원 미만이었는데요. 지출 경험자들은 월간 평균 1만5468원을 썼습니다.

OTT 동영상은 월 가구 소득 600~700만원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즐겼습니다. 지출 경험자는 월간 평균 2만105원을 썼죠. 가장 적은 시간을 즐긴 월 가구 소득 구간은 300만원 미만이었습니다. 지출 경험자들은 월간 평균 1만4029원을 썼습니다.

극장에서 영화를 가장 많은 횟수를 관람한 월 가구 소득 구간은 600~799만원이었습니다. 지출 경험자는 회당 평균 1만6480원을 사용했습니다. 가장 적은 횟수를 관람한 월 가구 소득 구간은 300만원 미만이었습니다. 지출 경험자는 회당 평균 1만9817원을 썼죠.

도서를 가장 많은 횟수를 소비한 월 가구 소득 구간은 600~799만원이었습니다. 지출 경험자는 회당 평균 1만8649원을 썼는데요. 가장 적은 횟수를 소비한 월 가구 소득 구간은 400~599만원이었습니다. 지출 경험자는 회당 평균 1만9356원을 사용했습니다.

이상 가구 소득 구간별로 즐기는 문화 콘텐츠의 차이를 알아봤는데요. 콘텐츠 소비 시에 개인의 취향뿐만 아니라 소득 역시 영향을 미친다니 놀라운 것 같습니다. 여러분은 평소에 어떤 문화 콘텐츠를 가장 많이 소비하시나요?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