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30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6월말 은행 자율 민생금융 3406억원 집행···하나은행 최대액 지원

금융 은행

6월말 은행 자율 민생금융 3406억원 집행···하나은행 최대액 지원

등록 2024.07.31 15:00

이수정

  기자

공유

목표액 5971억원의 57% 지원 완료

[DB 하나은행, HANA BANK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DB 하나은행, HANA BANK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은행연합회는 은행권 민생금융지원방안 '자율프로그램' 1차 집행 결과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3406억원을 집행했다고 31일 공시했다. 이는 목표액인 5971억원의 57%다.

자율프로그램은 민생금융지원방안 총 지원규모 2조1000억원 가운데 은행권 공통프로그램(1조5000억원)을 제외한 6000억원을 활용해 은행 상황에 맞춰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공통프로그램 지원액 외 잔여재원이 있는 12개 은행(하나, 신한, 우리, 국민, 기업, SC제일, 한국씨티, 카카오, 광주, 수협, 농협, IM뱅크)이 참여하고 있다. 6월까지 가장 많은 액수를 집행한 곳은 하나은행(1243억원)이다. 그 뒤를 우리은행(592억원), 신한은행(578억원), 국민은행(307억원), 기업은행(330억원)이 이었다. 인터넷은행인 카카오뱅크는 280억원 중 151억원을 6월까지 집행했다.

6월까지 집행 금액 중 1792억원은 '서민금융진흥원 출연 및 저금리 대환 프로그램 지원'에 활용됐다. 소상공인 및 소기업 지원(이자 캐시백, 보증료 지원 등)에는 1091억원이 쓰였다.

나머지 532억원은 청년·금융취약계층 지원에 쓰였다. 이 가운데 청년 자금지원과 생활안정에 121억원, 서민 등 금융취약계층에 339억원 지원됐다. 고령자와 다문화가정, 농·어업인에는 63억원을 지원했다.

은행연합회는 "자율프로그램을 올해 내 완료를 목표로 운영하고 있지만, 일부 변동이 있을 수 있다"면서 "향후에도 실효성 있는 집행을 위해 은행별 집행실적을 매분기 익월말에 정기적으로 공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수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