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유통·바이오 아워홈 구지은, '2조 클럽' 목전 두고 꿈 접히나

유통·바이오 식음료

아워홈 구지은, '2조 클럽' 목전 두고 꿈 접히나

등록 2024.04.22 20:12

김제영

  기자

공유

구지은 부회장, 올해 주총서 사내이사 재선임 부결장녀 구미현, 구본성 전 부회장과 합세···매각 가능성↑글로벌 '뉴 아워홈' 좌절···구 부회장, 우군 확보 시급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구지은 아워홈 부회장이 이사회에서 밀려나면서 남매간의 경영권 분쟁이 다시 시작되는 분위기다. 장남 구본성 전 부회장과 장녀 구미현 씨가 손잡은 가운데 구 부회장이 향후 대표이사직을 지킬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

특히 구 부회장은 올해를 '뉴(New) 아워홈'을 향한 변곡점의 한 해로 삼고 해외 진출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구 부회장 체제 아래 작년 최대 실적에 2조 클럽을 앞둔 아워홈이 성장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 17일 서울 강서구 본사에서 열린 아워홈 정기 주주총회에서 구지은 부회장을 비롯한 10여명의 사내이사 재선임 안건이 모두 부결됐다. 해당 안건은 구본성 전 부회장과 구미현 씨의 반대로 부결된 것으로 알려졌다.

아워홈은 창업주인 고(故) 구자학 회장의 1남 3녀가 지분 98%를 보유한 비상장사다. 최대주주는 장남 구본성 전 부회장으로 지분 38.56%, 장녀 구미현 씨가 19.28%, 차녀 구명진 씨가 19.60%, 삼녀 구지은 부회장이 20.67%를 보유하고 있는 구조다.

아워홈 구지은, '2조 클럽' 목전 두고 꿈 접히나 기사의 사진

아워홈 남매의 난은 구지은 부회장과 구본성 전 부회장의 갈등에서 시작됐다. 구 부회장은 아워홈 입사 후 경영수업을 받아왔지만, 장자 승계 원칙에 따라 2016년 구 전 부회장이 경영에 참여하면서 분쟁이 생겼다. 당시 구미현 씨는 구 전 부회장에 협력해 구 부회장은 자회사 대표로 밀려나기도 했다.

그러나 구본성 전 부회장이 2020년 보복운전 등 혐의로 논란을 일으키자 세 자매가 합심해 구 전 부회장을 몰아내고 2021년 구지은 부회장을 선임했다. 구지은 부회장은 범LG가에서 장자 승계 전통을 깬 대표로 꼽힌다.

구지은 체제 아래 아워홈은 성장세를 지속해온 가운데 올해 '2조 클럽' 입성을 앞두고 있다. 아워홈은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8% 증가한 1조9835억원, 영업이익은 76% 급증한 943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단체급식 및 외식 등 식음료 부문은 역대 최대 실적인 1조1171억원,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배 이상 성장했다.

더욱이 구 부회장이 핵심 과제로 삼은 글로벌 사업 부문도 성장을 도왔다. 아워홈의 해외 사업부문 매출은 2022년 전체 매출의 10% 비중을 최초로 달성했고,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매출이 13% 증가하며 실적 성장을 지속했다.

구 부회장은 올해 글로벌 푸드앤 헬스테크 기업으로의 도약을 위해 해외 진출을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아워홈은 4대 비즈니스 모델(단체급식·식자재유통·외식·식품)을 토대로 글로벌 사업을 확장해 올해 해외 매출을 전년 대비 30% 성장할 수 있을 걸로 기대하고 있다. 해외 거점을 통해 국내외 소싱과 무역을 확대하고 진정한 글로벌 회사로 탈바꿈한다는 목표다.

그러나 구 부회장의 거취가 흔들리면서 뉴 아워홈의 꿈이 꺾이는 분위기다. 구 부회장의 대표이사직 임기는 오는 6월까지다. 구 부회장이 경영권을 방어하기 위해선 우호 지분을 확보해야 하는데, '캐스팅보트'를 쥔 구미현 씨는 구 전 부회장과 손잡고 경영권 매각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24'를 참관 중인 구지은 아워홈 부회장. 자료=아워홈 제공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24'를 참관 중인 구지은 아워홈 부회장. 자료=아워홈 제공

아워홈의 경영권이 구 전 부회장 측에 넘어갈 경우 아워홈은 전문경영인 체제로 전환될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실제 구 전 부회장이 대표를 지난 2016년 당시 아워홈은 구 전 부회장과 LG순혈 전문경영인의 각자대표 체제로 운영된 바 있다.

특히 구미현 씨의 최종 목적이 '지분 현금화'로 알려지면서 아워홈의 미래가 불투명해진 상황이다. 앞서 세 자매가 구 전 부회장을 해임시킬 당시 이들은 지분 공동매각 및 의결권 공동행사에 대한 협약을 맺었는데, 이 때문에 구미현 씨는 구 전 부회장에 유리한 의결권을 행사할 시 위약금을 물어야 하는 상황이다. 다만 이 합의의 시효는 오는 6월까지다.

구 전 부회장 측은 경영권 장악을 위해 임시주총을 열고 사내이사에 측근 인사를 선임할 예정이다. 지난 주총에선 두 명의 사내이사를 선임했는데, 자본금 10억원 이상 기업은 사내이사를 최소 세 명으로 구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이사회를 장악하고 전문경영인 체제로 전환한 뒤 아워홈의 매각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에서는 지분 구조상 구지은 부회장의 반격 카드로 구미현 씨를 설득하거나 사모펀드 등 우호 세력을 끌어들이는 방법이 거론된다. 구 부회장은 그동안 아워홈을 안정적으로 이끌어온 만큼 재계 안팎에선 신임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현재 상황에선 사모펀드와 협력하는 방안이 유력하다는 분석이 힘을 받고 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