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오피니언 '용진이형' 청산한 정용진, 회장도 '본업' 충실할 때

오피니언 기자수첩

'용진이형' 청산한 정용진, 회장도 '본업' 충실할 때

등록 2024.04.04 14:39

김제영

  기자

공유

reporter
팔로워 84만명의 용진이형이 '셀럽'의 삶을 정리하고 기업 총수로 탈바꿈했다. 정용진 회장이 지난달 승진한 이후 가장 먼저 눈에 띈 변화는 인스타그램이다. 그동안의 게시물을 대부분 없애고, 게시글에 달린 내용을 수정해 자극적이거나 논란을 낳았던 과거가 모두 지워졌다.

초창기 정 회장의 SNS 활동은 호감을 샀다. 은둔하는 보통의 재벌 기업 오너와 달리 사생활을 여과 없이 드러내고 소통한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그룹 이미지도 덩달아 호감이 됐다. 친근한 모습으로 대중의 '용진이형'이 된 그에게 SNS란 '도파민' 그 자체였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정 회장을 유명 인사로 만든 SNS는 그에게 덫이 됐다. 지나치게 솔직한 게 문제였다. 그는 '공산당', '멸공' 등 정치적 논란을 키우는 발언을 가감 없이 꺼냈고, 본인을 비판하는 기자를 공개 저격하기도 했다. 대중을, 언론을 편 가르기하며 구태여 적을 만든 셈이다.

그 사이 정 회장의 본업은 줄줄이 좌초됐다. 그가 부회장을 지내는 동안 도전했다 접은 사업이 많아 '마이너스 손'이라는 오명이 붙을 정도다. 유통업 외로 정 회장의 개인 취향이 반영된 사업 투자가 재무 부담을 더 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야구단과 골프장, 와이너리와 스타벅스 등이 본업과 무관한 투자로 꼽힌다.

특히 이마트의 재무 상태에 결정적 타격을 준 건 온라인 사업이다. 정 회장은 지난 2021년 이베이코리아를 3조원대에 인수한 후 이듬해 '디지털 피보팅'에 도전했지만, 공들인 데 비해 득을 보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SSG닷컴은 1030억원, 지마켓은 321억원 적자를 냈다.

결국 이마트는 '창사 이래 첫 적자'라는 불명예를 안고, 유통 왕좌를 쿠팡에 내어줬다. 작년부터 이마트의 신용등급도 줄줄이 하락세다. 본업 경쟁력을 잃었다는 이유에서다. 이커머스의 성장으로 대형마트 산업이 흔들리는 와중에 본업에 충실하지 못한 정 회장의 경영 행보가 이마트에 악재를 더한 격이다.

다만 모순되게도 이마트가 꺼낸 카드는 정 회장의 승진 인사다. 정 부회장은 18년 만에 회장으로 승진해 경영 전면에 나서게 됐다. 위기를 정면돌파할 강한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책임 경영에 나선다는 명분이었다.

이 과정에서 이마트가 창립 이래 첫 전사 희망퇴직에 나선 건 뼈아픈 처사다. 이마트 노조는 그동안 이마트를 일궈온 직원을 '패잔병' 취급한다며 비판했다. 특히 정 회장이 취임하며 강조한 원칙은 '신상필벌'인데, 정 회장 본인부터 이 원칙에서 자유롭지 못 하다는 지적이다.

정 회장은 일단 SNS 정리로 옛 과오를 청산하고 본분을 다하고 있다. 그는 최근 작년 수익성에 악영향을 준 신세계건설의 수장을 교체하는 수시 인사를 단행했다. 일각에선 정 회장의 변화를 감지하고, 그가 당분간 경영에만 집중하는 모습을 보일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마트가 올해 내세운 전략은 본업 경쟁력 강화다. 그동안 놓치고 있던 오프라인 유통의 근본을 바로 잡겠다는 포부다. 경영이 본업인 정 회장의 어깨도 무겁다. 그의 어깨에 매달려 생사가 오가는 이마트 임직원은 2만2000여명이 넘는다. 올해는 정 회장도 그 무게를 느끼고 회장 본업에 충실하길 기대해 본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