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산업 장인화號 출범 앞둔 포스코···김준형 "이차전지 투자 속도 조정 없다"

산업 에너지·화학 2024 인터배터리

장인화號 출범 앞둔 포스코···김준형 "이차전지 투자 속도 조정 없다"

등록 2024.03.06 13:57

수정 2024.03.06 15:05

김현호

  기자

공유

6일 서울 코엑스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4' 참석장 후보 말 인용해 "미래성장산업으로 가져갈 것"

(사진 오른쪽) 김준형 포스코홀딩스 친환경미래소재총괄이 포스코그룹의 '인터배터리 2024' 부스를 둘러보는 모습. 사진=공동취재단(사진 오른쪽) 김준형 포스코홀딩스 친환경미래소재총괄이 포스코그룹의 '인터배터리 2024' 부스를 둘러보는 모습. 사진=공동취재단

"이차전지 투자 속도는 조정할 필요가 없다. 지속적으로 밀고 나가 앞으로 미래성장산업으로 가져가시겠다는 게 큰 방점이기 때문에 더욱더 잘된 거 같다"

김준형 포스코홀딩스 친환경미래소재총괄이 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4'에서 기자들과 만나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후보의 말을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장 회장 후보가 회장으로 정식 취임하면 이차전지 투자를 속도 조절 할 것이라는 시각을 부인한 셈이다.

지난달 포스코퓨처엠 사장에서 포스코홀딩스 친환경미래소재총괄로 직을 옮긴 그는 "친환경 미래소재, 이차전지뿐 아니라 수소도 제철소에 많이 필요해 미리 대책을 세워야 하고 CO² 등 이슈는 총괄에서 전체 관장하면서 계열사를 지원하고 경쟁력을 맞추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LFP(리튬인산철) 사업과 관련해 김 총괄은 "가격이 저렴하지만 기업으로선 마진을 붙여 영업이익을 내야 하는데 마진 붙이기가 쉽지 않은 구조"라며 "고객이 원하면 공급을 해줘야 할 책임이 있기 때문에 그 사업은 진행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 기업과 손을 잡는 가능성에 대해 "지금 잘 나가는 LFP 회사들이 중국에 꽤 많지만 전통적으로 포스코그룹하고 좋은 관계를 맺어왔던 중국그룹이 많이 있기 때문에 여러 업체하고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합작법인 설립과 관련해선 "(합작사 설립이) 되겠죠"라며 "IRA(인플레이션 감축법)로 (중국 회사) 지분율은 25% 미만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준형 총괄은 포스코퓨처엠이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에 이어 SK온과 양극재 공급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총괄은 "포드하고 SK온이 어떻게 하느냐의 게임이고 소재 공급 계약이 맺어지면 SK온과도 당장 계약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김 총괄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침체) 현상을 인정하면서도 투자는 지속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아직 주문은 줄지 않고 있고 실제 투자는 지금부터 2~3년 뒤를 위한 투자"라며 "수주받은 것으로 투자하기 때문에 수주받은 걸 투자 하지 않을 순 없지 않냐"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김현호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