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카카오·케이뱅크,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상승···토스뱅크도 '양호'

금융 은행

카카오·케이뱅크,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상승···토스뱅크도 '양호'

등록 2023.08.25 17:24

차재서

  기자

공유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이 2분기에도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에 만전을 기했다. 그래픽=박혜수 기자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이 2분기에도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에 만전을 기했다. 그래픽=박혜수 기자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이 2분기에도 중·저신용자에게 신용대출을 공급하는 데 신경을 쏟았다.

25일 연합뉴스와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잔액 기준)은 카카오뱅크 27.7%, 케이뱅크 24.0%, 토스뱅크 38.5% 등으로 집계됐다.

이는 은행의 전체 가계 신용대출 잔액에서 KCB(코리아크fp딧뷰로) 기준 신용평점 하위 50%(860점 이하)에 대한 대출 잔액 비중을 의미한다.

먼저 카카오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27.7%로 전분기보다 2%p 상승했다. 상반기에만 1조7503억원을 공급하며 올해 목표치인 30%에 한 발 다가섰다. 2분기말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잔액은 3조9184억원이다.

카카오뱅크 측은 "8월 기준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이 28%를 넘어섰고, 연말엔 목표치를 달성할 것"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같은 기간 케이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출비중은 24.0%로 0.1%p 올랐다. 상반기 공급액은 4640억원이었다. 다만 케이뱅크의 연말 목표치는 32%여서 남은 6개월간 이 숫자를 8%p 끌어올려야 하는 실정이다.

토스뱅크의 경우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이 38.5%(연말 목표치 44%)로 3.56%p 내려갔다. 상반기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액은 8408억원, 2분기말 대출 잔액은 3조700억원이다.

이에 대해 토스뱅크 측은 "거시경제 불안정이 지속되면서 대출 심사·내부 등급 기준을 고도화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KCB 기준 중·저신용자 비중이 감소했다"면서 "또 다른 신용평가기관인 나이스(NICE)의 신용점수를 기준으로 하면 그 숫자는 50.3%로 늘어난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환대출에서 고신용자 유입이 있었고, 부실채권 상각 과정에서 비중이 줄어든 것도 있다"면서 "신용개선 의지가 있는 중·저신용자를 지원하는 본분을 충실히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