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1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추경호 "대일 중심 소부장 정책, 대세계·첨단미래산업으로 확장"

추경호 "대일 중심 소부장 정책, 대세계·첨단미래산업으로 확장"

등록 2022.10.18 16:33

수정 2022.10.18 16:34

주혜린

  기자

공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기획재정부(조세정책) 국정감사.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열린 기획재정부(조세정책) 국정감사에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국회 기획재정위원회-기획재정부(조세정책) 국정감사.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열린 기획재정부(조세정책) 국정감사에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소재·부품·장비 정책 대상을 대(對)일본·주력 산업 중심에서 대세계·첨단미래산업으로 확장하겠다고 18일 밝혔다.

추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소부장 경쟁력강화위원회'를 주재하고 "글로벌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신산업 공급망을 선도하는 한편, 경상수지 개선에도 근본적 차원에서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소부장 정책 방향을 마련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추 부총리는 "최근 미중 간 경쟁 심화, 공급망 블록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 연이은 대외 충격으로 공급망 위기가 상시화·장기화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현행 특정국 중심 대응책은 미흡한 측면이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경상수지의 구조적 개선을 위해 중간재(소재·부품), 자본재(장비)의 수입의존도를 낮추고 국산 제품 수출을 확대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이어 "소부장 정책대상을 대일(對日)·주력산업 중심에서 대(對)세계·첨단미래산업으로 확장하겠다"며 "대일 수출규제 대응 차원에서 마련된 기존 6대 분야·100대 핵심 전략기술을 바이오를 포함한 7대 분야·150대 핵심 전략기술로 확대해 중점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추 부총리는 "요소 등 중요도가 높은 범용품과 원소재도 '소부장공급망 안정품목'으로 별도 선정해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신산업 R&D 투자를 적극 확대하는 한편, 사업화와의 연계를 강화하겠다"며 "국내 수요-공급기업 중심의 협력사업 범위를 넓혀 해외 수요-국내 공급기업 간 협력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통해 주요 수입품목의 국산화를 넘어,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소부장 수출 기회로 활용하는 '글로벌 소부장 진출전략'을 마련해 추진하겠다"며 "민간 주도의 협력 생태계 확산 및 글로벌 공급망 위기징후 조기파악 모니터링 체계 등도 차질없이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주혜린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