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여년 무허가 난립촌···100% 공공분양 800여가구 조성원래는 406가구 민간분양 예정이었으나 공공으로 전환민간 개발이익 막고 집값안정화 시키려는 서울시 노력보상금액 놓고 토지주와 마찰, 지지부진에 땅값만 올라SH와 보상 문제로 아직도 거주하는 일부 원주민도 있어
2일 본지는 서초구 방배동 565-2일대에 위치한 성뒤마을에 직접 다녀왔다. 이곳은 1960~70년대 강남개발로 생긴 이주민이 정착해 생긴 마을이다. 재해 위험이 높아 체계적인 정비요구가 꾸준히 제기되면서 재개발을 추진하게 됐다. 당시 124세대 235명이 거주했으며 총 194개 건물 중 판잣집, 석재상, 고물상 등 무허가 건축물들이 무분별하게 난립해 있었다고 한다. 이로 인해 도시미관 저해 등 우면산 자락의 흉물로 40여 년간 방치돼 주민들이 오랫동안 개발요구가 있는 지역이었다.
서울시는 800여가구 조성을 목표로 2019년 안에 보상 절차를 끝내고 지난 2020년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었다. 당초 서울시는 지난 2019년 9월 이곳에 공공주택 413가구(분양 105가구, 임대 308가구)를 공급하기로 하는 건축계획안을 가결했는데 총 16만3000㎥ 규모로 외국인 전용 아파트, 외국인 학교, 소형 컨벤션 센터, 병원 등이 들어서는 '서초 글로벌타운 건립계획'이 추진될 것이라고 했다.
이러한 서울시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성뒤마을은 현재까지도 보상 작업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성뒤마을 일부 토지주들이 정부가 공공개발을 이유로 오랫동안 그린벨트로 묶어 놓고 이로 인해 저평가된 보상 규모를 제시하려 한다며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행사로 나선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측은 보상 기준이 공시지가에 따른 감정평가 기준을 따라야 한다며 맞서고 있다.
더군다나 공공임대 비율이 높아질수록 토지주들에게 돌아가는 개발 이익이 적어진다. 이에 임대주택이 아닌 특별 공급으로 자가 소유의 입주권을 보상하라는 목소리도 높다. 쉽게 말해 지분형 주택은 대출로 집을 사거나 최대 30년간 월세로 산 이후 마지막에 보상으로 헌 집을 받는 것과 다름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이러한 갈등 때문에 이미 작년 12월에 끝났어야 할 도시개발사업은 시작도 첫삽도 못 떴다. 도시개발사업이 완료돼야 그 다음 단계인 공공주택사업이 진행될 수 있다. 심지어 개발이 당초보다 늦어지는 사이 보상 규모는 긴 세월 동안 3000억원에서 5000억원, 1조원으로 불었다는 얘기도 나온다.
작년 12월 보상에 부정적인 사람들은 수용재결을 신청했고 결과는 아직 나오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성뒤마을 시행자인 SH공사는 서울시, 토지주와 함께 각각 선정한 3개의 감정평가법인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상규모를 측정할 예정이다. SH와 보상금을 놓고 합의점을 찾지 못하자 아직도 이곳을 떠나지 못한 일부 원주민들도 있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소윤 기자
yoon13@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