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HMM, 초대형선 20척 누적 운송량 '300만TEU' 달성···'최단기간·최대물량'

HMM, 초대형선 20척 누적 운송량 '300만TEU' 달성···'최단기간·최대물량'

등록 2022.02.22 11:22

윤경현

  기자

공유

헤드홀 기준 총 92항차 중 88항차 만선백홀 선적률 2만4000TEU급 98.3% 기록

HMM 함부르크호. 사진=HMM 제공HMM 함부르크호. 사진=HMM 제공

 HMM은 세계 최대 컨테이너선 2만4000TEU급 12척, 1만6000TEU급 8척 등 초대형선 20척의 누적 운송량이 총 300만TEU를 넘어섰다고 22일 밝혔다. 세계 최대 컨테이너선 2만4000TEU급 12척 중 7호선인 'HMM Hamburg(함부르크)'호가 중국 옌톈항에서 만선으로 출항하면서, 현재까지 누적 운송량은 총 301만1054TEU를 달성했다.

우선 2만4000TEU급 컨테이너선 12척의 경우, 지난 2020년 4월부터 유럽노선에 투입된 1호선 'HMM 알헤시라스'호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68항차(헤드홀 기준)를 운항하면서 누적 운송량 132만7381TEU를 기록했다. 특히 68항차 중 65항차를 만선으로 출항하는 대기록을 남겼다. 평균 선적률은 101.1%이다.백홀의 경우, 총 59항차 중 30항차가 만선이었다.

누적 운송량 111만9048TEU, 평균 선적률은 98.3%를 기록했다.헤드홀(head-haul)은 아시아에서 미국이나 유럽으로 가는 수출화물을 뜻한다. 반대로 유럽이나 미국에서 되돌아올 때 싣는 물량을 '백홀' 이라고 한다. 1만6000TEU급 컨테이너선 8척의 경우, 지난해 3월부터 유럽노선에 투입된 1호선 'HMM 누리(Nuri)'호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24항차(헤드홀 기준)를 운항하면서 누적 운송량 32만3458TEU를 기록했다.

특히 24항차 중 23항차를 만선으로 출항, 평균 선적률은 101.3%이다.백홀은 총 18항차 중 13항차에서 만선이었고. 누적 운송량 24만1167TEU, 평균 선적률은 100.7%를 기록했다.이로써 20척의 초대형선은 총 169항차 중 131항차에서 만선이었다. 누적 운송량은 301만1054TEU를 기록했다. 특히 헤드홀은 총 92항차 중 88항차를 만선으로 출항하며, 최단기간 최대 물량을 실어 날았다.

뉴스웨이 윤경현 기자

ad

댓글